
소상공인聯 경영실태 조사
무이자 자금지원 대책 시급
코로나19 사태가 앞으로 3개월간 더 지속될 경우 소상공인 10명 중 7명꼴로 폐업을 고려하겠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자영업자 대출 부실화 우려가 높아지면서 '무이자 자금 지원' 같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의견까지 제기됐다.
소상공인연합회가 강원지역 회원 163명을 포함해 전국 1,3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경영실태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6개월 이상)될 경우 48.5%는 '폐업을 고려할 것'이라고 답했고, 23.9%는 '폐업 상태일 것'이라고 답했다. 사업을 유지하고자 노력할 것이란 응답은 27.5%에 그쳤다.
코로나 사태로 인한 매출액 변동폭은 -50% 이상이 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80% 이상이 20.8%, -90% 이상이 17.1%, -100% 15.8% 순이었다. 부담되는 경영비용으로는 임대료가 38.6%로 가장 많았고 인건비 25.9%, 대출이자 17.9%, 세금 6.6%, 공과금 6.2%, 4대 보험료 4.9% 순이었다.
소상공인들이 생존 절벽에 내몰리면서 자금 유동성 공급이 시급하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강원연구원 황규선 연구위원은 국제기구·연구기관들이 내놓은 전망에 근거해 강원 지역생산 피해액을 추정한 결과 최소 1조1,488억원(세계은행 전망·한국 GDP 2.44% 감소 시)에서 최대 5조7,442억원(노무라증권 전망·한국 경제성장률 -12.2% 적용 시)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황 위원은 “중소기업, 소상공인, 영세자영업자 등에게 만기연장이나 이차 지원을 넘어서 아예 무이자로 자금을 지원하거나, 매각이 어려운 중소기업 보유 부동산을 정부나 지자체가 매입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안도 필요하며 전기·수도요금처럼 고정비용 성격의 공공요금을 직접 지원하는 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 peace@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