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文 정부 `지지 vs 심판' 강원표심 향배 주목

지난 3년 평가 의미 담겨

한달 앞으로 다가온 4·15총선에서의 '문재인 정부에 대한 강원 표심의 평가'가 주목된다. 이번 선거는 임기 2년여를 남긴 문재인 정부의 지난 3년을 평가하는 성격으로 흐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2018년 6월에 치러진 지방선거는 정권 출범 후 1년 만에 치러진 데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으로 조성된 '한반도 평화 기대'가 컸던 때여서 여당에 유리했다.

하지만 이번 총선은 다르다. 외교·안보 분야는 북미 간 비핵화 대화 교착으로 진전이 없다. 얼어붙었던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여기에 조국 전 장관을 비롯한 청와대 관계자에 대한 검찰의 수사라는 변수도 자리잡고 있다. 강원도 내에는 화천 산천어 축제에 대한 장관의 발언, 오색케이블카 불허 등 환경부 발 악재도 있다. 검찰의 청와대 관계자 수사, 환경부 발에 대해 전국적으로는 찬반 논란이 있지만 도내에서는 여권에 불리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으로 분석된다.

영입 인재가 각종 의혹으로 당을 떠나고, 야권의 비례선거용 정당을 꼼수라고 비난한 과거를 뒤로하고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한 더불어민주당의 결정도 불리한 변수 중 하나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같은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지지율이 꾸준히 40%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여당으로선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도, 당초 우려보다는 악화 일보만 걷고 있지는 않다.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외국이 더 주목하는 대응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고 나면 그것도 4·15총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국 전 법무장관 부부로 인해 불거진 '불공정성' 문제도 도내는 물론 전국 20대의 반발 정서를 형성시켰지만, 노령층 일자리 창출에 대한 60~70대의 표심 변화도 예상된다.

서울=이규호기자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