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달 앞으로 다가온 4·15총선에서의 '문재인 정부에 대한 강원 표심의 평가'가 주목된다. 이번 선거는 임기 2년여를 남긴 문재인 정부의 지난 3년을 평가하는 성격으로 흐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2018년 6월에 치러진 지방선거는 정권 출범 후 1년 만에 치러진 데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으로 조성된 '한반도 평화 기대'가 컸던 때여서 여당에 유리했다.
하지만 이번 총선은 다르다. 외교·안보 분야는 북미 간 비핵화 대화 교착으로 진전이 없다. 얼어붙었던 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사실상 멈춰선 상태다. 여기에 조국 전 장관을 비롯한 청와대 관계자에 대한 검찰의 수사라는 변수도 자리잡고 있다. 강원도 내에는 화천 산천어 축제에 대한 장관의 발언, 오색케이블카 불허 등 환경부 발 악재도 있다. 검찰의 청와대 관계자 수사, 환경부 발에 대해 전국적으로는 찬반 논란이 있지만 도내에서는 여권에 불리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으로 분석된다.
영입 인재가 각종 의혹으로 당을 떠나고, 야권의 비례선거용 정당을 꼼수라고 비난한 과거를 뒤로하고 비례연합정당에 참여한 더불어민주당의 결정도 불리한 변수 중 하나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같은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지지율이 꾸준히 40% 후반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은 여당으로선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도, 당초 우려보다는 악화 일보만 걷고 있지는 않다.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외국이 더 주목하는 대응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고 나면 그것도 4·15총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국 전 법무장관 부부로 인해 불거진 '불공정성' 문제도 도내는 물론 전국 20대의 반발 정서를 형성시켰지만, 노령층 일자리 창출에 대한 60~70대의 표심 변화도 예상된다.
서울=이규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