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시스템·개혁' 앞세웠지만 `탈당·무소속 출마' 부작용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도내 일부 지역 공천 완료…한달간 이슈 되짚어보니

민주- 공천 후유증 최소화 초점

탈당·불참 경선방식 논란

통합- 중량급 줄줄이 공천 탈락

무소속 강행땐 표심 분산

4·15 총선을 30일 앞둔 여야가 일부 공천 심사를 완료했다. '시스템 공천'과 '개혁 공천'을 앞세웠지만 그 후폭풍은 강원도 선거판을 격랑 속으로 밀어넣고 있다. 한 달여간 이뤄진 여야의 공천작업을 되짚어 봤다.

■경선으로 공천 후유증 최소화…일부 부작용=더불어민주당은 공천 후유증을 최소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강원지역 8개 선거구 중 5개 선거구의 경선을 결정했다. 그나마도 원주을과 강릉은 단독 신청에 따른 단수 공천이었다.

그럼에도 후유증을 피할 수 없었다. 선거구 획정에 따른 '교통정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서다. 홍천-횡성-영월-평창에서는 기존 '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 선거구 공천을 받은 원경환 전 서울지방경찰청장을 재공천, 조일현 전 국회의원의 탈당 및 무소속 출마를 불러왔다. 반대로 동해-태백-삼척-정선은 재경선을 결정했다. '동해-삼척' 경선에서 승리해 후보자로 확정됐던 김명기 전 국방부 장관 정책보좌관은 당의 이 같은 방침에 반발하다가 결국 지난 13일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경선 방식 논란도 불거졌다. 권리당원 50%, 일반시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하는 기본 경선 원칙을 춘천갑에만 100% 일반시민 여론조사로 변경해 적용했다. 민주당이었던 권성중 변호사와 장승호 한국도시발전연구소 대표는 탈당해 무소속으로 나섰다.

■속전속결 과감한 물갈이…현역 절반 교체=미래통합당에서는 과감한 전략·단수 공천이 이어졌다. 경선으로 후보자를 가린 선거구는 원주 을과 홍천-횡성-영월-평창 2개 선거구뿐이다. 가장 큰 이슈는 현역 의원의 교체였다. 15일까지 공천 결과만 보면 당 소속 6명의 의원 중 김기선(원주갑)·염동열(태백-횡성-영월-평창-정선)·권성동(강릉) 의원 등 절반이 스스로 불출마를 선언하거나 컷 오프(공천배제) 됐다. 지난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황영철 전 의원까지 더하면 교체율은 50%를 웃돌 정도다. 현역 교체 선거구에는 박정하 전 청와대 춘추관장, 홍윤식 전 행정자치부 장관 등 새로운 인물을 수혈해 후보로 낙점했다.

그러나 후폭풍이 거세다. 현역인 권성동 의원을 비롯해 최명희 전 강릉시장, 김창남 황교안 당대표 특보, 박선규 전 영월군수, 김연식 전 태백시장, 한상열 유원대 경영경제연구소장 등이 무소속 출마할 경우 본선 대결 구도가 바뀔 수 있다.

■여야 변수에 고민=공천 후폭풍은 각 정당의 지지층 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무소속 출마 후보의 체급이 높을 경우 득표력이 상당해 사실상 각 정당 후보의 표를 빼앗아갈 수 있다. 대결 구도가 복잡해질수록 표심 계산이 복잡해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도내 정가 관계자는 “공천에 따른 논란과 반발을 얼마나 잠재우는지도 중요하지만 결국 각 당 공천의 당위성과 명분이 유권자들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원선영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