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종별 피해현황·지원책 건의
관광진흥개발 융자 한도 상향
제조업 부품 수급난 대책 호소
강원지역 경제단체장들은 도가 4일 개최한 '코로나19 극복 민관 합동 경제활력 대책 회의'에서 업종별 피해 현황과 지원책 건의를 쏟아냈다.
천세복 도관광협회장은 “호텔, 리조트업계는 주중 영업은 아예 중단하고, 주말 예약률도 10~15%에 그쳐 영업피해가 극심하다”며 “업체별로 수십~수백명이 근무할 정도로 고용인원도 많은데 직원들의 마스크를 구하지 못하거나 손세정제도 확보하지 못한 업체도 많아 방역물품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1년 거치'인 정부의 관광진흥개발기금 융자지원사업도 '3년 거치 5년 상환'으로 연장하고, 한도액도 2억원에서 5억(여행사, 관광식당)~10억원(호텔, 리조트)으로 상향 조정해 줄 것을 건의했다.
박경규 한국외식업중앙회 도지회장은 “외식업체 매출액이 50% 이상 감소해 취약계층 고용이 흔들리는 만큼 고용지원책이 필요하며, 소상공인 정책자금 신규대출은 제로금리, 1%대로 하는 파격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제조업계 피해도 컸다. 최길운 강원의료기기산업협회장은 “중국에서 부품을 조달해 완제품을 수출하는 회원사가 많은데 부품 수급난과 수출대금 회수 지연을 겪고 있다”며 자금 유동성 위기 대책을 호소했다.
이미옥 한국여성경제인협회 강원지회장도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등에서 지원받은 보증의 만기가 임박한 가운데 코로나19로 매출 타격을 입어 부도 직전에 내몰린 회사들도 있다”며 “보증지원기관 간 협의체를 구성해 보증기간 연장, 신규대출 지원을 해달라”고 건의했다.
이금선 강원발전경제인협회장은 “가게를 운영할수록 적자를 보는 업체들이 속출해 폐업을 고민하는 곳이 많다”며 “정책자금을 장기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거치기간과 만기를 연장해주고, 신용등급 6등급 이하 사업자들이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서상건 강원상인연합회장은 “불안심리가 커져 모임 자체를 꺼리는 분위기인데 전통시장에는 치명적”이라며 “안전수칙은 준수하며 소규모 모임 개최 등은 이어 나가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