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평창올림픽 계기 탄력받는 강원평화특별자치도

올림픽 통한 남북관계 개선 속

자치도 필요성 확산 계기 마련

문 대통령 대선공약에도 포함

오늘 원주서 용역결과 보고회

북한이 대규모 대표단을 평창동계올림픽에 참가시키기로 확정하면서 도가 추진하고 있는 강원평화특별자치도 구상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세계 유일의 분단도(道)로서 평화를 핵심 개념으로 하는 특별자치도의 필요성을 확산시킬 계기가 마련됐기 때문이다.

도는 2011년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한 이후 '북한의 대회 참가' 필요성과 의미를 꾸준히 제기해 왔다. 그 결과 남북관계가 강대강으로 치닫던 분위기 속에서 북한 대표단의 참가를 견인, 남북교류 전진기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성과를 거뒀다. 강원평화특별자치도는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다. 도에 남북강원도 교류를 위한 특별한 지위·권한을 부여해 통일 시대에 대비한 공동번영의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치분권을 기본으로 대북접촉승인권을 부여하고 남북협력사업 보장 및 남북협력기금을 활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돼야 한다.

도는 2020년 평화특별자치도 설립을 목표로 올해부터 특화사업 발굴을 추진하고 있다.

18개 시·군별로 다양한 공감스토리 특화사업을 시리즈로 발굴해 강원평화특별자치도 설치의 당위성을 확보할 계획이다. 도와 시·군이 매년 30억원을 확보, 2020년까지 사업별로 연간 5,000만원에서 3억원까지 지원한다. 평화와 통일을 주제로 한 신규 문화예술축제, 분위기 조성 사업, 문화관광 체험상품 개발 등이 주요 대상이다. 도는 18일 원주에서 강원평화특별자치도 조성 용역결과 보고회를 열고 시·군 관계자들과 추진전략 및 방향을 논의한다.

김민재 도 기획조정실장은 “평창올림픽을 통해 분단의 상징이었던 강원도가 평화의 중심지로 거듭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도가 남북교류 차원에서 특별한 지위를 제도적으로 부여받을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성현기자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