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주, 강릉에서 고성능 반도체용 세라믹 소재를 개발하는 400억원대 국책 프로젝트가 진행된다.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으로 고성능·고효율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원주와 강릉이 반도체 신소재 산업의 중심으로 부상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 예산안에 ‘반도체 세라믹 소재 부품 공정 혁신기술’ 연구개발(R&D) 사업비 32억원을 신규 반영했다. 이 사업은 강릉과 원주를 중심으로 추진되며 2030년까지 400억원이 투입된다. 강원 지역에서 진행된 순수 R&D사업으로는 역대 최고 수준의 예산이 투입된다. 또 새 정부 출범 이후 강원권에서 추진되는 첫 번째 반도체 육성 사업이다.
사업 내용을 들여다보면 강원특별자치도를 향후 반도체 소재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하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국정과제에서 강원지역의 ‘반도체 교육소재부품 산업 육성’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당초 강원자치도는 이 프로젝트에 150억원을 제안했으니 정부 오히려 필요성을 더 크게 인정, 400억원까지 확대한 것으로 전해진다.
과기부와 강원자치도, 강릉시, 원주시는 내년부터 강릉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용화기술본부에서 반도체에 쓰일 첨단 세라믹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한다. 기술개발이 종료되면 강릉 4개, 원주 4개 등 총 8개 반도체 소재·부품 기업에 기술을 이전해 상용화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일본 등에서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세라믹 소재 국산화해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를 꾀할 수 있다.
강원자치도 관계자는 “반도체 첨단 세라믹 소재·부품산업 육성으로 원천기술 개발과 국산화 및 기술자립을 실현하고 고용 창출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