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암 발생 현황 보고(2014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 암은 갑상선암이다. 여성에서 1위, 남성에서 6위를 차지하고 있다.
목이 좀 튀어나와 보인다거나 무엇인가가 만져진다는 느낌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혹시 자신이 갑상선암은 아닐까 하는 불안한 마음을 갖고 병원을 찾는다. 하지만 갑상선에서 발견되는 혹의 90% 이상은 양성이므로 혹이 있다고 해서 모두 암은 아니므로 일단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갑상선은 목의 아래쪽에 있으며 숨을 쉬는 기관 앞에 있는 30g 정도의 조그만 장기로 호르몬을 분비하는 호르몬 기관이다. 갑상선 기능 이상은 신체에 많은 변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장기간 치료를 하지 않을 경우는 건강을 심각하게 해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갑상선에서 결절(혹)이 발견된다고 해서 반드시 갑상선의 기능 이상을 동반하지는 않는다.
갑상선 결절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중년 여성의 경우 5% 정도에서 만져지는 결절이 발견된다. 결절의 크기가 0.5~1㎝ 정도 되면 위치에 따라 의사에 의한 촉진이 가능하고 그 이상의 크기가 되면 환자 스스로 만질 수 있다. 갑상선 결절은 여자가 남자보다 4, 5배 더 많이 발견된다.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가장 중요한 것은 이 결절이 암인지 아닌지를 구분하는 것이다. 갑상선 결절이 발견되면 암인지 아닌지를 확진하기 위해 미세침 흡인검사를 한다. 이는 초음파를 보면서 바늘로 결절을 찔러 세포를 뽑고 이를 현미경으로 검사해 암세포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갑상선 미세침 흡인술은 그 진단적 가치가 매우 높은 데 비해 시술이 간편하고 합병증이나 후유증이 거의 없어 자주 이용되는 검사방법이다. 하지만 결과가 양성으로 나왔다고 하더라도 일부 표본 세포만 검사한 것이므로 꾸준하고 정기적인 추적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갑상선암은 85%의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정상수명을 유지할 정도로 예후가 좋다. 갑상선에는 여러 종류의 암이 발생할 수 있으나 가장 흔한 암은 갑상선의 여포 세포에서 발생하는 유두암(80~90%)이다.
최근 발표에 따르면 갑상선암은 비교적 어린 나이(20대)에도 발견되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