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3 대선을 일주일여 앞두고 민심의 흐름이 거세게 흔들리고 있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여전히 선두지만,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그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도 두 자릿수 지지율에 진입하며 존재감을 키우는 모양새다.
강원 민심도 이 같은 전국 판세와 맞물려 급류 속으로 들어섰다. 강원일보는 전국 대표 지역신문 협의체인 한국지방신문협회(강원일보, 경남신문, 경인일보, 광주일보, 대전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전북일보, 제주일보)와 공동으로 전국 민심을 살펴봤다.
이번 대선 사전투표를 나흘 앞둔 25일 강원도 유권자들의 마음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대선 주자들의 지지율이 엎치락 뒤치락하며 접전을 벌이는 가운데, 춘천·원주·영동권 등 전략지역을 중심으로 민심도 술렁이고 있다. 각 당 선대위가 지지층 결집과 중도층 공략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여전히 많은 유권자들이 판단을 유보하고 있다.
■ 춘천·원주, ‘보수 텃밭’ 속 변화의 진원지=한때 보수의 안정적 지지 기반으로 불렸던 강원은, 2017년 대선을 기점으로 도심을 중심으로 표심 변화가 본격화됐다. 특히 춘천과 원주는 민주당 소속 자치단체장과 국회의원을 잇따라 배출하며 민주당의 전략적 거점으로 자리 잡은 지역이다. 하지만 최근 국민의힘도 공세를 강화하면서 두 도시는 어느 정당도 안심할 수 없는 격전지로 떠올랐다.
각 당 선대위가 춘천과 원주를 ‘핵심 지역’으로 분류하고 공을 들이는 것도 이같은 이유에서다. 실제로 현장에선 엇갈린 여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24일 춘천 명동에서 만난 직장인 김영호(46·춘천 석사동)씨는 “이번 선거는 그냥 여야 싸움이 아니라, 누가 민주주의를 지킬 수 있느냐를 보는 거라 생각한다”며 “내란 세력에 표를 주고 싶지 않다”고 강조했다.
반면 자영업자 정경희(58·원주 태장동)씨는 “이재명 후보는 도덕성 논란이 너무 많다. 사법 리스크도 걱정된다”며 “그래도 김문수 후보는 말조심도 하는 편이고, 이미지도 깔끔해서 그런 면에서는 더 신뢰가 간다”고 말했다.


■ “누굴 뽑으란 건지 모르겠다” 결정 못한 표심=강원 표심을 잡기 위한 각 당의 경쟁은 거세지만, 정작 유권자들 사이에선 “마땅히 찍을 사람이 없다”는 회의적인 반응도 적지 않다. 피로감이 먼저라는 분위기다.
춘천에서 택시를 모는 윤모(61)씨 역시 “작년 12월 비상계엄부터 탄핵이고 대선이고, 벌써 반년 가까이 시끄럽지 않나. 누구든 빨리 결론 좀 났으면 좋겠다”고 했다. 공무원 김모(33·강릉시 금학동)씨는 “이재명은 공약이 너무 많아 현실성이 의심되고, 김문수는 세상 돌아가는 감각이 떨어져 보인다”며 “누구도 선뜻 믿고 표를 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반응은 무관심이라기보다는 불신에서 비롯된 냉소라는 해석도 나온다. 영월에 거주하는 농민 김상길(68)씨는 “고물가에 인건비, 전기세까지 다 오르는데, 누가 대통령이 되든 달라질 게 있을지 모르겠다”며 “공약은 다 그럴듯한데, 항상 체감되는 변화는 없었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표를 하지 않겠다는 반응은 드물었다. “마음에 드는 후보는 없지만, 더 싫은 후보가 되는 걸 막기 위해서라도 투표는 하겠다”는 식이다. 속초에 거주하는 신모(32·속초시 교동)씨는 “막판까지 지켜보다가, 결국 차악이라고 생각되는 쪽에 투표할 것 같다”고 말했다.
■ 결집하는 표심과 남은 변수=대선이 종반전에 접어들며 진영별 지지층도 빠르게 집결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보수 지지세가 강한 영동권을 중심으로 조직력 강화에 나섰고, 민주당은 춘천·원주 등 도시지역과 청년층, 중도층 표심을 공략하며 접전지에서의 격차 벌리기에 힘을 싣고 있다.
그러나 ‘선거는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는 말처럼, 강원 민심은 여전히 유동적이다. 이재명 후보가 다소 주춤하는 가운데 김문수 후보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격차를 좁혔고,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 여부도 변수로 떠올랐다.
특히 원주와 춘천 등 도시지역의 중도·청년층, 영동권의 보수 표 결집이 막판 판세를 결정지을 핵심 요인으로 주목된다. 이제 유권자들은 ‘누가 더 내 삶에 도움이 될까’를 묻고 있다. 각 후보가 이 질문에 어떤 답을 내놓을지, 남은 시간은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