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전남은 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사태를 계기로 민주당 지지가 결집되고 있다. 특히 계엄령에 대한 트라우마가 깊은 5·18 피해지역 정서와 맞물려 보수정당에 대한 반감이 고조되는 분위기다. 봉선동 주민 김형용(45) 씨는 “이번엔 전략적 선택이 아니라 당연한 선택”이라며 “표심은 이미 일방적으로 기울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김대중·노무현 시절 이상의 득표율을 목표로 득표율 90% 달성에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지역 민심의 싸늘한 반응 속에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일부에선 “민주당 독점이 지역 정치와 예산 배분에 악영향을 줬다”는 비판도 나오지만, ‘내란에 대한 심판’ 정서가 그것을 압도하는 모양새다.
전북은 지난 20대 대선에서 80% 이상의 투표율과 높은 민주당 지지율을 기록했으며, 이번 대선에서도 그 열기가 재현되고 있다. 조기 대선이라는 특수 상황 속에서 정권 안정과 지역 실익을 고려한 선택이 강조된다. 부안군 농민 김한식(63) 씨는 “쌀값 폭락 때 전 정부가 농민을 외면했다”며 “이번엔 농민 정책을 믿고 투표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김대중 시절 93% 지지율을 뛰어넘겠다는 목표로 유세에 집중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공식적으론 30% 지지를 호소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두 자릿수 방어도 쉽지 않다는 위기의식을 내비친다. 유권자들은 “이번 대선은 재미없는 승부가 될 것”이라는 여유 속에서도, 마지막까지 투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자는 신중론도 함께 내비친다.
제주는 과거 대통령 선거에서 대부분의 당선자를 맞혀온 ‘정치 풍향계’ 지역으로, 이번 대선에서도 민생과 실현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유권자 반응이 뚜렷하다. 고깃집을 운영하는 한철(68) 씨는 “정치만 있고 민생은 없다. 자영업자가 얼마나 힘든지 아무도 모른다”며 “이번엔 진짜 민생정책을 보고 뽑겠다”고 말했다. 감귤 농가와 관광업 종사자, 여성 경제인들은 행정 간소화, 기후위기 대응, 맞춤형 창업 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중소상공인과 청년층은 정당보다 후보의 정책 실행력과 태도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정국 혼란을 수습할 후보’에 대한 기대와 함께, ‘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는 리더십’을 갖춘 인물에 대한 실용적 접근이 부각되고 있다.
광주일보=정병호·김민석 기자
전북일보=김영호 기자
제주일보=진유한·조병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