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소상공인 매출 고성 43% 늘때 화천 33% 감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한국신용데이터 8월3주차 분석

코로나 위기 시·군별 대응책 필요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기초지자체의 경제위기 관리능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시·군별 경기 흐름이 확진자 발생 규모에 따라 '천양지차'이기 때문이다. 상반기는 중앙정부, 광역지자체 주도로 비상경제대책을 수립했다면, 하반기는 시·군별로 대응점을 잡아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국신용데이터가 코로나19 재확산기인 8월 3주차(17~23일) 시군별 소상공인 매출액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고성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반면, 화천은 33% 감소해 편차가 무려 76%포인트에 달했다. 영동권은 유동인구 유입이 꾸준했던 반면, 영서권은 유동인구 유입도 없고 주민 이동조차 제한되면서 격차가 커졌다. 춘천, 원주의 경우 전년 대비 20% 안팎씩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유행 초기였던 올 2~3월과 가장 대비되는 점이다. 3월에는 사실상 모든 지역의 매출액 감소폭이 20% 이상이었지만, 8월 재확산 국면에서 7개 시·군의 매출액은 전년 수준 이상이었다. 8월 3주차 강원도 소상공인 매출액도 전년대비 92% 수준으로 비교적 양호했다. 강원도 평균만 놓고 보면 춘천, 원주, 영서지역 접경지의 경기 타격은 간과되는 '평균의 함정'에 빠질 상황이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경제위기 대응책이 강원도 단위가 아닌 '권역별' 혹은 '시·군별'로 필요해졌다는 분석이다. 전국적인 경제 현안인 '소상공인 매출 회복'이란 목표는 같아도 세부 실행 전략은 시·군별로 마련돼야 한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소상공인과 지역상권의 보호 및 육성을 위한 현장 수요 파악부터 강조했다.

홍형득(강원대 교수) 한국정책학회장은 “소상공인들이 체감할만한 '작아도 확실한 대응'이 중요해졌다”며 “시·군 주도형으로 경제위기 극복 사례를 꾸준히 만들어내는 '원포인트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 peace@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