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정부 지원 확실해야 할 강릉 ITS 세계총회 유치 도전

강릉시가 2025년 '지능형교통체계(ITS) 세계총회' 유치 후보도시로 선정, 주목하게 된다. 이른바 '교통올림픽'이다. 세계 각국의 교통 정책 관계자, 전문가들이 참여해 보다 편리·용이한 방안을 논의하는 행사다. 첨단 시스템 운용과 응용, ITS 구현을 위한 기술적 문제에 대한 구조와 제도적 방안을 협의하는 것은 물론이다. 강릉시가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것도 고무적이거니와 유치전에 뛰어든 만큼 반드시 성취할 일이다.

ITS 세계총회는 1994년 프랑스 파리에서 시작됐다고 한다. 통행·교역의 중요성을 감안하면 세계 각국의 공조는 필수이자 절대적이다. 이를 도모하기 위한 해당 분야 세계 최대 전시회이자 학술대회다. 매년 아시아, 미주, 유럽을 순회하며 개최하고 있다. 1998년 서울, 2010년 부산에서 각각 열린 바 있다. 이번에 국토교통부가 구성한 '2025년 ITS 세계총회 유치 후보도시 선정평가위원회'가 강릉을 꼽은 이유는 지극히 타당하다. 평창동계올림픽 성공 개최 경험, 지역의 우수 관광자원, 강릉시의 추진 의지 부문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강릉의 입지 특성, 지정학적 여건을 고려하면 의미를 더한다. 동북아시아의 허브도시,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국토부는 강원도와 강릉시, 한국도로공사·한국교통안전공단·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 등과 함께 유치조직위원회를 구성한다는 방침이다. 이달 중에 ITS 아시아·태평양 사무국에 유치의향서를 제출한다는 계획도 제시했다. 서울·부산 유치 경험이 있지만 도전하는 입장에서는 최선을 다해야 하는 만큼 긴장을 늦출 수 없다. 동원 가능한 역량을 두루 결집해야 하는 이유다. 더구나 2025년 개최지를 올 10월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서 열리는 ITS 세계총회에서 선정한다니 여유를 부릴 상황이 아니다. 대륙 간 순회 개최라는 특성을 살펴 적합한 유치 활동에 돌입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도시 선정이지만 엄연한 국가 간의 경쟁이기에 정부의 전략적 지원이 요구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도는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에 3차례 도전한 경험, 실패와 성공 사례를 두루 안고 있다.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지혜가 발휘돼야 한다. 그 에너지가 국민적 성원에서 나온다는 것은 상식이다. 따라서 ITS 세계총회의 가치와 지역 성장·발전 요지를 제대로 인식시켜야 한다. 강릉을 비롯한 동해안 일대의 항공·해운·철도시설이 세계 각국으로 이어지는 효력을 얻게 된다는 점에 비춰 보면 기필코 팔을 걷어붙이고 나서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