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노후준비 교육수요 9천명 달하는데…상주 전문강사는 춘천에 단 1명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국민연금공단 서비스 열악

사진=연합뉴스

98년 강원지부→춘천지사 격하

도내 5개 지사 서울남부서 관리

강원도가 노후준비 서비스의 사각지대에 방치돼 있다. 노후준비 지원법이 2015년 12월 시행된 지 4년이 지났지만 주민들의 서비스 수요 대비 '공급 여건'은 열악한 상황이다.

■턱없이 모자란 노후준비 전문강사=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도내 5개 지사(춘천, 원주, 강릉, 삼척, 홍천) 가운데 노후준비 교육 전문강사가 상주하는 곳은 춘천지사 1곳으로 인원도 단 1명에 불과하다. '노후준비 교육서비스'는 고령화 시대에 매우 중요한 분야다. 현금 대신 은퇴 후 재무관리, 재취업, 여가, 대인관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이 미래를 스스로 계획하도록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공단은 2010년부터 노후준비 교육서비스를 개시했고, 2015년 노후준비 지원법 시행에 따라 전 국민에게 무료로 교육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도내 상주 전문강사는 2010년 초기 영동, 영서 각각 1명씩 있었지만 최근에는 1명으로 오히려 줄었다. 지난해 주민들의 신청에 따라 도내에서 이뤄진 노후준비 무료 교육은 241건, 9,287명에 달한다.

■서울남부권에 '곁방살이' 하는 강원도=이처럼 열악한 여건은 근본적으로 국민연금공단의 조직구조에서 비롯된다. 국민연금공단은 1998년 강원지부를 춘천지사로 격하시켰고, 도내 5개 지사는 서울남부지역본부가 관리, 운영하고 있다. 서울남부지역본부에는 강남역삼, 송파, 서초지사가 포함돼 있다. 도내 교육 신청이 몰려 강사가 부족할 경우 서울남부본부에서 파견되는데, 한 명의 강사가 '대한민국 최고 부촌'과 '소득여건이 가장 열악한 지역'을 두고 동시에 활동하는 셈이다.

민간전문강사 양성, 확보도 강원도는 찬밥 신세다. 국민연금공단은 지난해 상반기 민간인 전문강사를 32명 선발했지만 도내에서는 지원자 중 적격자가 없다는 이유로 한 명도 선발되지 못했다. 국민연금공단의 강원도 서비스가 열악한 상황에서 지자체도 무관심하면서 주민들은 체계적인 노후준비 교육을 받을 기회조차 찾기 어려운 상황이다.

권도형 한국은퇴설계연구소 대표는 “퇴직 시기가 점점 빨라지면서 세계적으로 은퇴 준비도 점점 앞당겨 지고 있다”라며 “노후준비 교육의 핵심인 직업, 재무 분야 전문강사 인력이 지역사회에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 peace@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