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 폐사체서 바이러스 발견되자 “첫 확진농가 사례만 말한것”
전문가들 초기 대응 안일 지적… 가을철 멧돼지 남하 대책 비상
속보=아프리카돼지열병 사태가 장기화 조짐(본보 7일자 1면, 8일자 5면 등 보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가을철부터 남하하는 멧돼지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환경부는 9월17일 첫 발병 당시 '해당 지역에서 야생멧돼지에 의한 발병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입장을 내는 등 멧돼지 관련 전파 가능성을 낮게 평가해 왔다. 그러나 지난 3일 비무장지대 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발견되면서 멧돼지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높아졌고 그동안의 대응이 안일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더불어민주당 김현권 의원이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을 통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1년간 강원도 내 지역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수는 무려 22마리로 나타났다. 경기 인천을 포함한 접경지역 전체의 약 60%로 가장 많았다. 한돈협회, 수의사회를 비롯한 전문가 단체는 멧돼지에 의한 전파 가능성을 우려해 발생 이전부터 지속적으로 환경부에 문제 제기를 해 왔지만 적극적인 개체수 조절이 이뤄지지 않아 사태를 키운 셈이다.
전문가들은 야생멧돼지 개체 수 조절에 실패할 경우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풍토병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지금이라도 정확한 개체 수를 파악해 조절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김준영 대한수의사회 부회장은“아직 멧돼지 개체수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부처 간 의견 조율조차 되지 않아 사태가 날로 악화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야생멧돼지 전염에 의한 발병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한 것은 첫 번째 확진 농가인 파주 연다산동에 대한 설명이었다”며 “북한 유입 하천수 조사, 멧돼지 폐사체 예찰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조사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박서화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