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승객 82명을 태운 한강버스가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인근 수심이 얕은 곳을 지나다 강바닥에 걸려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한강버스가 사고 직전 항로를 이탈한 정황이 포착돼 서울시가 조사에 나섰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16일 "조사 결과 (항로 이탈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며 "항로를 철저히 신경 쓰고 있었기 때문에 운전자의 항로 이탈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고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항로 이탈은 없었다'는 설명과 배치되는 내용이다. 박 본부장은 전날 사고 관련 브리핑에서 "뚝섬∼잠실 구간은 수심이 얕아 항로는 철저히 신경 쓰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사고 현장 인근에는 수심이 얕은 곳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등대가 설치됐으나 문제의 선박은 등대를 넘어 진입한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한강버스 멈춤 사고와 관련해 공식 사과하고, 운항 환경을 더욱 정밀하게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이민경 대변인 명의 입장문을 내고 "15일 오후 8시 25분 잠실행 7항차 한강버스 102호가 잠실선착장 인근 118m 지점에서 일시 정지한 상황과 관련해 시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사고 발생 즉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했고, 그 과정에서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말했다.
시는 사고 직후 수난구조대·한강경찰대·한강본부 등 관련 기관에 즉시 신고해 구조정을 투입했고, 오후 9시 18분까지 승객 82명 전원을 잠실선착장으로 안전하게 이송해 귀가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았고, 현장의 구조·대응 체계는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가동됐으며 선박 역시 외형 파손이나 기계적 손상이 현재까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했다.
한강버스 측은 폐쇄회로(CC)TV 영상 등을 통해 사고 원인을 분석한 자료를 서울시에 넘길 방침이다. 이날 오전 6시 30분께에는 잠수사가 투입돼 사고 선박을 살폈다.
앞서 지난 15일 오후 8시 24분께, 서울 잠실선착장 인근 한강 수역에서 승객 82명이 탄 한강버스가 수심이 얕은 구간을 지나던 중 강바닥에 걸려 멈춰서는 사고가 빌생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강바닥에 걸려 멈춤 사고가 발생한 한강버스의 안전성에 우려를 표하며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안전 대책을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김 총리는 이어 "서울시는 행정안전부와 협조해 이번 사고의 원인을 철저히 조사하고 한강버스 선박, 선착장, 운항 노선의 안전성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라"며 "한강의 얕은 수심과 관련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인과 대응 방안을 상세하게 분석해 조치하라"고 특별 지시를 내렸다.
특별 지시에는 "서울시와 행안부는 한강버스 운항 중 좌초, 침몰, 화재 등 사고가 발생했을 때 모든 승객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대응체계가 갖춰졌는지 재점검하라"는 내용이 포함됐다.
김 총리는 "안전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점검·후속 조치를 조속히 완료하고 필요시 일시 중단 기간 연장 등을 포함한 방안을 추가 검토해 시행하라"고 덧붙였다.
총리실은 "김 총리는 선착장 위치 선정 및 운항 노선 결정 시 한강 지형에 대한 검토가 제대로 이뤄졌는지 여부를 포함한 한강버스 운항 안전성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고 전했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의 역점 사업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진 한강버스 시업에 대해 여권을 중심으로 '졸속 행정'이라는 공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한강버스 사고를 두고 오 시장을 향해 "서울시민의 생명을 건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