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수소엔진산업 중심도시로 도약”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삼척시, 수소엔진포럼 개최
투자유치, 수소엔진산업 실증 및 기술개발 등 업무협약 체결

【삼척】수소 내연기관은 연료 순도 요구가 낮고, 기존 장치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탄소중립 동력시술로서의 의미가 있고, 재료 가공 저장 제어 기술개발로 미래기술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주장이 나왔다.

배충식 카이스트 교수는 12일 삼척 쏠비치리조트에서 열린 삼척시 수소엔진 포럼에서 ‘국내 수소엔진 분야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한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배 교수는 “국제적인 탄소중립 흐름에 따라 수송분야에서도 찬소중립 연료적용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며 “ 국내에서는 정부가 내연기관의 핵심연료로 수소를 채택함에 따라 관련 산업이 확장되고 있고, 경형 중대형 차량, 건설 차량, 해양 분야 등 다양한 내연기관을 대상으로 수소 활용연구가 진행중”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수소엔진 포럼은 삼척시가 수소경제 선도 의지를 대내외에 표명하고, 수소산업 육성 및 수소엔진산업의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기관·기업들간의 교류의 장으로 마련된 것으로, 기조연설에 이어 기술·산업세션, 패널토론 등이 진행됐다.

특히 삼척시와 타타(TATA)대우 모빌리티(주), 한국천연가스수소차량협회, 강원테크노파크는 수소엔진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투자유치와 수소엔진산업 실증 및 기술개발, 수소차량 안전기준 등 제도정비 건의,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신규 사업을 창출하는 역할을 각각 수행하기로 했다.

변철현 삼척시 에너지정책팀장은 “포럼과 협약체결로 삼척시가 수소엔진산업의 중심 도시로 도약하는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수소 및 액화수소산업 관련 투자유치와 일자리 창출, 실증기반 확대, 지역기업의 참여 활성화 등으로 수소산업 생태계 형성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