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

춘천의 소리, 굿의 울림으로 피어나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강원의 노동요·서울 굿 만난 무대…14일 춘천인형극장
- 함영선 ‘춘천소리 발표회’가 전하는 해원과 치유의 노래

춘천 지역의 토속민요와 서울 굿이 한 무대에서 어우러지는 특별한 공연이 마련된다. 강원소리진흥회가 마련한 ‘춘천시민을 위한 함영선의 춘천소리 발표회’가 14일 오후 7시 춘천인형극장 대극장에서 강원의 정서와 굿의 예술성이 만나는 새로운 무대를 선보인다. ‘춘천 굿소리가 굿이로구나’를 타이틀로 한 이번 공연은 이유라 명창이 발굴한 강원 지역 소리와 함영선 소리꾼의 감각적 해석이 결합된 작품들로 구성됐다. 삶의 현장에서 길어 올린 노동요와 유희요, 그리고 서울 굿의 무가(巫歌)를 중심으로 현대인들에게 해원과 치유의 시간을 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연의 1부는 ‘춘천소리’를 주제로, 이유라 명창이 직접 지역을 찾아다니며 채록한 강원도 토속민요를 무대에 올린다. 이유라 명창은 지난 수년간 강원의 전통 소리를 복원하기 위해 ‘잃어버린 소리를 찾아서’ 음반과 악보집 시리즈를 펴내며 강원 소리의 본격적인 전승 시대를 열었다. 이날 공연에서는 춘천의 목화따는 소리, 처녀장사타령, 미나리 노래, 아라리 등 지역의 삶이 녹아든 소리들이 연달아 선보인다. 함영선 소리꾼은 이러한 민요들을 무대 예술로 재구성해 새로운 감각으로 표현하며, 이유라 명창과 함께 ‘한오백년’을 합창한다. 또 김현섭, 이소연, 이슬, 최은영, 김요재 등 출연진이 함께 ‘싸시랭이소리’와 ‘각설이타령’ 등 강원소리를 들려주며 현장의 흥겨움을 더한다.

이어지는 2부는 서울 굿의 음악적 요소를 중심으로 한 공연으로 꾸며진다. 종교적 의미를 넘어 예술로서의 ‘소리’에 집중한다. 함영선 소리꾼은 굿의 전통 장단과 무가를 재해석해 현대적 감성으로 풀어낸다. 이 무대는 단순한 의례가 아니라 해원과 유희의 공간으로 재구성돼 관객에게 치유의 경험을 전할 예정이다. 무대는 김보연이 맡은 ‘부정거리’, 함영선과 하지아가 함께하는 ‘대감거리(조상거리)’로 이어지며, 전 출연자가 참여하는 ‘액맥이타령’으로 절정에 이른다. 마지막 순서에서는 사암리농악단이 흥겨운 농악 연주로 공연의 대미를 장식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