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른 설상·빙상경기장들이 결국 '돈 먹는 하마'로 전락했다. 강릉·평창 일대 경기장 운영·유지에만 강원도비가 연간 60억원씩 투입, 관리 주체를 국가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에 따르면 평창 소재 슬라이딩센터와 스키점프센터, 크로스컨트리센터, 바이애슬론센터 등은 강원개발공사에 위탁해 관리 중으로, 연간 50억원의 운영비용이 들고 있다. 운영비가 40억원, 개·보수비가 10억원이다.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과 강릉 하키센터까지 합치면 위탁 비용은 60억원까지 불어난다.
이 밖에 관동대 내 관동 하키센터와 강릉영동대 내 쇼트트랙 보조경기장 등은 도가 소유했지만 각 학교에 무상양여한 상태다. 이에 운영비를 학교가 직접 지불하지만 수익은 학교가 갖는다. 이와 달리 평창 설상경기장 등은 저조한 수익에 연간 40억원 이상 적자를 보고 있다.
이 같은 실정에 이들 경기장에 대한 국가로의 '관리 이양'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도의회 사회문화위원회가 11일 도 관광국 행정사무감사를 진행한 가운데 박기영(국민의힘·춘천) 도의원은 "국가적으로 치른 국제올림픽 경기장 관리를 도가 전적으로 맡아 연간 60억 이상의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국가로의 관리 이양을 위해 도가 보다 체계적인 단계별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해 김권종 관광국장은 "당초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통한 국가 관리를 추진했었지만 더 신속한 관리 이양을 위해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에 해당 내용 반영을 추진하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소관 정부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를 설득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앞서 도의회는 지난해 11월 회기 당시 이와 동일한 내용을 담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유산 관리에 대한 국가적 지원 촉구' 결의문을 발표하기도 했다. 또 지난달 강원도 국정감사와 대통령 타운홀 미팅에서도 평창 설상경기장의 국가 관리 이양 요청이 나오기도 했다.
이날 행감에서 조성운(국민의힘·삼척) 의원은 '운탄고도1330'을 세계적인 명품길로 만들기 위해 시·군 간 협조와 공사 완성도 제고가 필요하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