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강원형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이끌어 온 춘천시가 특구 본부 유치 의지를 강력히 드러냈다.
춘천시는 비수도권 권역 가운데 유일하게 연구개발특구가 없던 강원도를 위해 특구 지정 문턱을 낮추는 강원특별법 특례 반영부터 주도적으로 나서왔다. 강원형 연구개발특구의 윤곽을 그리는 정부 용역 결과 발표가 다음 달로 다가온 가운데 육동한 시장은 4일 언론 간담회에서 "특례 반영, 국비 반영, 춘천 계획 수립까지 쏟은 시의 노력이 본부 유치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원형 연구개발특구는 대전, 광주, 부산, 대구 등 단일 도시에 조성된 이전 특구들과 다르게 춘천(바이오 신소재), 원주(디지털 헬스케어), 강릉(반도체 소재·부품)으로 분산 지정이 추진되고 있다. 도가 지난 달 특구 지정 신청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했고, 위원회 심의와 비슷한 속도로 기본 계획 수립 용역이 진행 중이다.
타 권역의 연구개발특구는 모두 본부가 되는 '비즈 센터'가 구축됐다. 센터는 행정 공간 외에도 기업 입주, 창업·연구 지원, 시제품 제작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시는 수도권 교통 접근성이 높은 옛 캠프페이지 도시재생혁신지구를 특구 본부 부지로 점찍고 발빠르게 검토에 들어갔다.
특히 시는 민선 8기 들어 '연구개발특구 전담 조직 신설'을 시장 1호 결재로 다룰 만큼 특구 지정을 위해 갖은 노력을 쏟아 부어왔다.
2023년 강원특별법 1차 개정안에 특구 관련 특례가 제외될 상황에 놓이자 국회와 공조해 이를 지켜냈고, 지난해 정부 예산안에는 강원형 연구개발특구 모델 타당성 조사 용역비를 직접 담아냈다.
이와 함께 도내 유일한 강소연구개발특구가 춘천에 위치했고 글로컬 대학인 강원대·한림대를 중심으로 기술 이전, 특허 등록 등의 성과 지표가 도내 시군 중 춘천이 가장 앞선다. 시가 특구 본부 춘천 건립의 당위성을 주장하기에 충분한 여건인 셈이다.
육동한 시장은 "연구개발특구 지정 효과가 도내 여러 지역으로 뻗어 나가겠지만 대학 도시, 연구개발(R&D) 도시로 자리매김한 춘천이 공유와 확산의 중심 축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