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원주시, 공공기관 2차 이전 앞서 대상기관 63곳 엄선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정부 공공기관 2차 이전 국정과제로 공식화 선언
올해 유치 대상 목록 정비…중점 35곳·관심 28곳
혁신도시 기관 연계성 고려…전국혁신도시와 연대

◇원주 강원혁신도시 전경

【원주】‘제2차 공공기관 이전’이 새정부의 국정과제에 포함되면서 원주시가 '혁신도시 확장성'을 앞세워 유치전에 고삐를 조이고 있다.

18일 원주시에 따르면 대통령 직속 국정기획위원회가 최근 이재명 정부 5년간의 국정운영 청사진을 발표하면서 공공기관 2차 이전을 공식화했다.

시는 본격적인 이전 작업에 앞서 유치 대상 공공기관을 선별한데 이어 개별 접촉을 늘리는 등 홍보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앞서 2017년 국립공원공단 이전을 끝으로 혁신도시 1차 이전을 마무리한 시는 일찌감치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이전을 준비했다. 이어 2019년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 전략 연구 연구용역을 통해 대상기관 목록을 작성했고, 2023년 4월 관련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했다.

올해 들어 유치 대상 기관에 대한 목록을 정비해 중점 대상 35곳과 관심 대상 28곳 등 총 63곳을 엄선했다. 기존 강원혁신도시 공공기관과 연계해 자원 의료 관련 기관이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도시 육성·발전을 위한 국회 공동결의대회’가 지난 5월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원강수 시장 등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 회원과 송기헌·박정하 국회의원 등 정계, 전국혁신도시노동조합협의회 회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강원일보 DB>

시는 8년여 전 조성된 강원혁신도시의 완성을 위해 새롭게 이전하는 공공기관들이 혁신도시와 연계된 공간에 안착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원주 등이 포함된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는 "전국 혁신도시가 지역 성장거점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의 조속한 추진해야 한다"며 대정부 건의문을 채택했다.

정부도 조만간 2차 공공기관 이전 작업을 서두를 것으로 예측된다.

지난 8일 강원혁신도시 내 지방행정연구원에서 열린 대통령직속 국정기획위원회 산하 국가균형성장특별위원회 주관 비공개 정책간담회에서는 기존 혁신도시에 대한 평가가 발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리에서 구체적인 공공기관 이전 관련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지만, 사실상 이전 작업에 따른 사전 포석으로 해석된다.

◇전국혁신도시(지구)협의회 정례회가 지난달 17일 충북 음성에서 김문기 원주부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려 '공공기관 2차 이전 공공기관 우선 배치' 등을 담은 대정부 공동건의문을 채택했다. <강원일보 DB>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앞서 관련법 개정도 요구된다.

현행 법률에 따라 지방 이전이 가능한 공공기관의 수는 기존 혁신도시 공공기관을 제외하고 90여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공공기관 지방 이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대상기관을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

원강수 시장은 "기존 혁신도시로 공공기관 2차 이전이 성사될 경우 현재의 자족 기능 부족과 제도적 미비점이 동반 해결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