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릉~삼척 구간 개선, 동해선 기능 회복해야

1940년대 개통 이후 시속 60㎞ 저속 운행
고성~부산 동해선 전체 효율성 떨어뜨려
새 정부, 고속전철화 사업 인식 현명한 결정을

한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길게 이어진 동해선 철도는 지역 발전의 중요한 축이자 국토 균형 발전을 위한 핵심 기반 시설이다. 강원도 고성에서 시작해 경상북도, 울산을 거쳐 부산까지 480㎞에 달하는 이 철도망은 동해안 주민 이동 편의를 증진하고, 물류 수송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해 왔다. 그러나 현재 동해선은 명확한 한계를 안고 있다. 바로 강릉에서 동해, 삼척을 잇는 약 50㎞ 구간이 1940년대 개통 이후 현대화되지 못해 시속 60㎞대의 저속으로 운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2028년 완공될 예정인 강릉~고성 제진 구간을 포함한 나머지 구간은 이미 시속 200㎞대의 고속 운행이 가능하지만, 이 같은 저속 구간 때문에 동해선 전체의 잠재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강원특별자치도가 ‘강릉~동해~삼척’ 고속전철화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를 앞두고 막판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는 소식은 고무적이다. 특히 도가 동해안의 미래 개발 구상을 담은 80여 건의 대규모 투자 계획을 정부에 제출하며 사업의 경제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어필하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동해·삼척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 구축, 강원경제자유구역 망상, 북평, 옥계지구 개발, 삼척 근덕 관광복합단지 조성 등 다채로운 프로젝트들은 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할 역량을 지니고 있다.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은 강릉~삼척 고속철도 사업의 경제성 분석(B/C) 결과는 0.5 수준으로 알려졌다. 통상적으로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B/C 값이 1을 넘지 못하면 사업의 경제성이 낮다고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간과해서는 안 될 긴요한 점은 철도와 같은 사회 기반 시설 사업은 단지 경제적 효율성만을 기준으로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특히 동해선 고속전철화 사업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 발전은 물론 국가 균형 발전이라는 더 큰 목표 달성에 필수적인 요소다. 고속전철이 개통되면 동해·삼척 수소 클러스터와 울산, 부산의 거대 공업단지 및 무역항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물류 혁신을 이룰 수 있다.

이는 이동 시간 단축을 넘어 동해안 지역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신성장 동력을 창출하는 계기가 된다. 또한 현재 50㎞ 구간에 1시간 이상 소요되는 저속 구간이 개선되면 삼척에서 부산까지의 이동 시간이 2시간대로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은 동해선이 본래의 기능을 회복하고 전국적인 철도망과의 효과적인 연계를 가능하게 함을 시사한다. 이것은 곧 국가 SOC 정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인 투자임을 방증한다. 대통령 선거 이후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가 임박했다는 관측은 이 사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새로운 정부는 동해선 고속전철화 사업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미래 지향적인 관점에서 현명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