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 러시아에 2차례에 걸쳐 1만5000여 명을 파병했으며, 사망한 600명을 포함해 모두 4천700여 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30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국민의힘 이성권·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다.
우크라이나군이 진입한 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군이 대부분 영토를 수복함에 따라 3월 이후 교전이 감소했다고 국정원은 정보위에 알렸다. 3차 파병은 아직 가시적 움직임은 없지만 가능성은 존재하는 것으로 전망됐다.
북한군은 파병 초기의 미숙함이 줄고 무인기 등 신형 장비에 익숙해지면서 전투력이 상당히 향상됐다고 국정원은 평가했다.
다만, 파병 장기화로 북한군 내 과음·절도 등 현지 일탈 행위도 보고됐다고 한다.
북한군 전사자는 쿠르스크에서 화장된 다음 이송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은 파병 및 무기 수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정찰 위성 발사대 및 기술 자문, 무인기 실물, 전자전 장비, SA-22 지대공 미사일 등을 제공받은 것으로 국정원은 보고했다. 또 금속·항공·에너지·관광 등 14개 부문에서 산업 현대화를 논의 중으로, 북한 노동자 1만5천명 정도가 러시아에 송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국정원은 이와 함께 다음 달 9일 러시아가 모스크바에서 여는 제2차 세계대전 전승절 행사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참석하지 않고,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