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강원자치도 대선 공약과제에 원주 현안 얼마나 남아낼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원주시, 최근 도 방문해 지역서 발굴한 공약과제 전달
첨복단지 재추진·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확장 등 담아
1차 제안서에 원주 과제 미미…2차 과제 선정 초미 집중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강원특별자치도가 공약과제 선정에 열을 올리고 있다. 여기에 원주시 현안이 어떻게 담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원주시 전경.

【원주】원주시 현안이 강원특별자치도 21대 대통령선거 공약과제 제안서에 어떻게 담길지 주목된다.

시는 최근 강원자치도를 찾아 도의 대선 공약 제안서 2차에 담길 지역 현안을 놓고 의견을 교환했다고 28일 밝혔다. 강원자치도는 기존 강원지역 현안과제 중심의 1차분 제안서를 채택한 데 이어 조만간 2차 제안서를 발표할 예정이다.

1차 제안서에는 원주지역 현안이 제대로 담기지 않았다는 평가다. 직접적인 원주 상황을 반영한 것은 원주~만종 철도 연결이 유일하다. 민선8기 공약 핵심으로 꼽히는 'K-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의 경우 '도 전역 확장'이라는 타이틀로 묶어 사실상 반도체 산업의 분산을 꾀하는 내용으로 채워졌다.

시는 이번 도 방문에서 강원자치도의 대선과제 2차 제안서에 지역 현안이 꼼꼼하게 담겨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 강원자치도도 지역 현안 중심의 제안서 채택에 적극 나서겠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시는 대구·충북 오송 지정 이후 중단 상태인 디지털헬스케어 첨단의료복합단지 재추진과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원주권 확장을 핵심으로 하는 대선 공약 과제를 수립했다.

또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D) 원주 연결 조기 개통과 원주 국도대체우회도로 완전 개통, 원주국제공항 승격, 대도시특례 요건 완화, 군(軍) 유휴부지(반곡·학성지구) 조기 개발, 강원과학기술원(GWIST) 설치, 공공기관 2차 이전 기존 혁신도시 재배치 등을 핵심 현안으로 꼽았다.

강지원 시 행정국장은 "20대 대선 당시 강원자치도가 내놓은 공약과제 제안서에는 원주 현안이 사실상 전무하다시피 했다"며 "이번 21대 대선을 통해 구성되는 새정부에서 지역의 염원을 직시할 수 있도록 공약과제가 제시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