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주 4일제, 강원도에 ‘기회’ 될까…1년 전부터 준비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대선 정국 초반 ‘주 4일제’ 논의 뜨거운 이슈로 급부상
민주당, 국민의힘 관점과 방식 다르지만 연속 휴무 형태 유사
김진태 지사 지난해 “주 4일제 강원특별자치도에 큰 기회”
생활인구 유치에 도움될 지 관심…강원자치도 정책 연구 중

대선 정국 초반 ‘주 4일제’ 이슈가 급부상하고 있는 가운데 강원특별자치도는 이미 1년 전부터 ‘근로시간’과 ‘생활인구 유치’에 대한 정책 연구를 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주 4일 또는 4.5일제를 대선 공약으로 내걸며 새 정부 출범 후 근로형태와 시간의 변화가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근로시간과 형태의 변화가 강원자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양당 모두 공약화=국민의힘은 주 4.5일 근무제 도입과 주 52시간 근로 규제 폐지를, 민주당은 ‘20대 민생 의제’에 주 4일제를 각각 포함시켰다. 조기대선으로 인해 특별한 정책 아젠다가 부상하지 않고 있지만 유독 4일제 논의가 초반 선거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방식에는 차이가 있지만 결과적으로 ‘월·화·수·목’을 일하고 ‘금·토·일’을 쉴 수 있는 방식으로의 변화한다는 점은 유사하다.

■김 지사 “강원도엔 기회”=강원자치도는 이 같은 흐름을 미리 감지하고, 변화하는 근무형태가 도내 인구 구조에 미칠 영향에 대해 선제적으로 대비해왔다. 김진태 강원자치도지사는 지난해 2월 도의회 신년연설에서 “주 4일제는 우리 강원특별자치도에 큰 기회가 될 수 있다"며 "여가시간의 대폭 확대를 통한 생활인구의 유입, 세컨하우스 붐을 통한 지역 부동산경기 활성화 등을 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미 워케이션 활성화, 강원스테이 사업 등을 통해 생활인구를 늘리는데 정책적 역량을 쏟고 있다"며 "주 4일제 도입 시 전국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지금부터 면밀히 연구하고 정책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생활인구 200만’, 일상 인프라 관건=강원자치도는 ‘인구 200만 달성(생활인구 포함)’을 도정 목표 가장 윗줄에 두고 있다. 관광·휴양·일 등을 복합한 체류인구를 유치하기 위해 체류형 글로벌 관광·비즈니스 인프라를 확충한다는 전략이다. 주 4일 또는 4.5일제는 이러한 전략의 핵심축이 될 전망이다.

기회를 현실로 만들기 위한 철저한 준비도 필요하다. 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연구원은 지난해 10월 ‘주 4일 근무시대의 강원형 대응 방안 모색’ 포럼을 열고 관련 논의를 본격화했다. 당시 전지성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단순한 체류자가 아니라 지역에서 먹고, 즐기고, 일하는 인구를 유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러한 일상 인프라가 갖춰져야만 한다”고 피력했다. 이어 “관광, 스포츠, 요식업, 엔터테인먼트 등은 적극적 대비와 시장 선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