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여성가족연구원이 ‘강원형 디지털성범죄 대응체계’ 구축에 나섰다.
도여성가족연구원은 최근 딥페이크 등 디지털성범죄의 심각성이 부각됨에 따라 지역적 특수성을 반영한 대응 방안 및 피해자 지원책 연구를 실시했다고 14일 밝혔다.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원은 지난해 10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여성폭력 피해지원 기관 종사자 21명(도내 종사자 11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강원지역 피해자들은 넓은 지역 면적으로 인해 기관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조사에 참여한 A씨는 “기관에서 피해자 거주지까지 왕복 3시간 이상 걸리는 경우도 있어 직원들 역시 마음먹고 방문 상담을 가야한다”며 “외곽에 사는 피해자들은 대충교통 조차 여의치 않다”고 말했다.
지역 내 익명성 부족도 피해자들의 발목을 잡았다. 면접조사에 참여한 B씨는 “좁은 지역일수록 소문 때문에 자기 지역에서 지원받는 것을 매우 싫어하는 피해자들이 있다”고 응답했다. 사건 유형에 따라 담당 기관 및 부서가 달라지는 유관기관의 연계성도 피해자 지원의 걸림돌로 꼽혔다.

도여성가족연구원은 원주에 위치한 강원디지털성범죄특화상담소를 중심으로 강원형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구를 맡은 전예지 연구위원은 “지역 기관인 강원디지털성범죄특화상담소와 여성긴급전화 1366강원센터, 중앙기관인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간 365일 24시간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강원자치도, 도교육청, 강원경찰청과 재정·교육·수사 지원 역시 연계해야 한다”고 했다.
또한 강원의 지역석 특수성을 고려해 상담 방식을 다양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전 연구위원은 “전화 상담 및 화상회의를 활용한 비대면 상담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가명 상담 등을 통해 피해자의 심리적 부담을 줄여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