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강원형 전략산업 투자펀드 조성 시동…도의회 115억원 규모 출자동의안 의결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형 전략산업 투자펀드 출자 동의안 경산위 통과
3년간 도비 200억원 투입 리스크 관리 필요성 언급

사진=강원특별자치도의회
사진=강원특별자치도

속보=지방시대 벤처펀드 공모 선정으로 추진 동력을 얻은 ‘강원형 전략산업 투자펀드’(본보 3월5일자 2면 보도)가 실질적 조성 절차에 돌입했다. 모펀드 조성을 위한 첫 단계인 출자 동의안이 강원특별자치도의회 상임위 문턱을 넘기면서다.

강원도의회 경제산업위원회(위원장:박찬흥)는 최근 열린 제336회 임시회 1차 회의에서 도가 제안한 ‘강원형 전략산업 투자펀드 조성 출자 동의안’을 원안대로 통과시켰다. 동의안은 강원형 전략산업 투자펀드 조성을 위해 한국벤처투자에 예산 115억원을 출자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115억원은 도비 60억원과 춘천시를 제외한 6개 참여 시·군(원주·강릉·태백·삼척·홍천·횡성) 부담금 55억원을 합산한 금액이다.

이날 도는 의원들에게 정부 주도 펀드에 참여해 대규모 투자 자금을 확보, 도내 중소·벤처·창업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함으로써 기업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강원형 전략산업 투자펀드 조성은 도내 첨단 산업 육성과 투자 생태계 마련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의원들의 동의를 구했다.

심의에 나선 의원들은 예상되는 투자 위험성, 참여 시·군 형평성 등을 꼼꼼히 따졌다. 박관희(국민의힘·춘천) 도의원은 “투자 펀드는 본질적으로 손실 가능성을 내포한다. 펀드 운용을 외부 전문가에게만 맡길 것이 아니라 강원도도 책임감을 갖고 리스크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영곤(국민의힘·삼척) 도의원은 “펀드에 참여한 시·군이 7개라 추후 시·군 투자 지원 시 형평성 문제가 생길 여지가 있다. 도가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본다”고 했다.

김만호 경제국장은 “펀도 참여 시·군은 특별한 기준에 따른 것이 아닌 자의로 참여한 것이다. 펀도 조성 진행 과정에서 참여 의지가 생긴다면 시·군 지원을 더 받을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