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비수도권 지역전략사업 15곳 조성을 위해 여의도 면적 15배 규모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를 해제한다.
해제 가능한 그린벨트 면적(해제 총량)이 대대적으로 늘어나는 건 2008년 이명박 정부 때 이후 17년 만이다.
국토교통부는 25일 국무회의 심의를 통해 그린벨트 해제가 가능한 비수도권 국가·지역전략사업 15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기업이 산업단지, 물류단지와 주택을 많이 지을 수 있도록 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취지다.
정부가 지자체에서 제출받은 사업 수요는 총 33곳으로 이 중 사업계획이 구체적이어서 실현 가능성이 높고,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큰 사업을 중심으로 지역전략사업을 선정했다.
부산권에서는 강서구 제2에코델타시티와 트라이포트 물류지구, 해운대 첨단사이언스파크 3곳이 이름을 올렸고, 창원권에서는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 의창 도심융합기술단지, 김해 진영 일반산단, 마산회원 도심생활 복합단지 등 4곳이 선정됐다.
울산권에서 선정된 지역전략사업은 수소 융복합밸리 산단, U-밸리 일반산단, 성안·약사 일반산단 3곳이다.
지역전략사업 15곳에서 해제를 검토하는 그린벨트 면적은 총 42㎢다.
이는 여의도 면적(2.9㎢)의 14.5배 수준이며, 비수도권 그린벨트의 1.7%를 차지한다.
해제 대상 그린벨트 중 환경평가 1·2등급지는 14.6㎢(35%)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