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생활인구가 등록인구 8배↑ 카드 사용액 비중 전국 최고…강원도 3월 생활도민증 발급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지역 생활인구 영향력 전국에서 가장 커
원주민 비중에 비해 체류인구 소비 비중 높아
3월부터 전 국민 대상 생활도민증 발급 키로

강원특별자치도가 전국에서 생활인구의 영향력이 가장 크고 원주민인 등록인구보다 지역에서 더 많은 돈을 쓰는 것으로 분석됐다.

강원자치도는 이르면 3월말부터 모바일 생활도민증을 발급하고 관광지, 레저시설 등에서 지역주민 할인과 같은 다양한 혜택을 지급하는 등 생활인구 유치에 나선다.

행정안전부와 강원자치도에 따르면 도내 인구감소지역 12개 시·군(태백시, 삼척시, 홍천군, 횡성군, 영월군,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고성군, 양양군)의 주민등록인구는 47만8,000여명이지만 체류인구는 376만1,000여명으로 집계됐다. 체류인구가 원주민보다 7.9배나 많다.

강원자치도는 전국에서 체류인구의 영향력이 가장 큰 지역이다. 타 시·도의 인구감소지역 체류인구 규모는 충남이 등록인구의 5배, 충북 4.9배. 전남 4.3배, 전북 4.1배, 경남 4.1배, 경북 3.6배에 그친다.

체류인구의 경제적 영향력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기준 카드사용액 비중을 보면 강원지역은 생활인구가 55.8%를 차지해 등록인구(44.2%)보다 높았다. 전국에서 등록인구보다 체류인구의 소비가 더 많은 지역은 강원자치도가 유일하다.

체류인구는 하루 3시간, 월 1회 이상 방문자를 집계하며 생활인구는 주민등록인구, 외국인, 체류인구를 합산한다.

도는 지역소멸 위기 대응 및 생활인구 유치를 위해 3월 말부터 모바일 생활도민증을 발급한다. 별다른 제한없이 원하는 국민 누구에게나 발급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강원자치도 방문을 유도한다. 생활도민증 소지자는 숙박·레저·관광시설 등에서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시·군, 유관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각종 편의, 제휴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김주용 강원자치도 지역소멸대응정책관은 “타 지역은 지역 내 시·군간 생활인구 교류가 많지만 강원특별자치도의 경우 서울, 경기지역의 비중이 높다”면서 “이들의 경제적 영향력도 상당해 생활인구 정책 마련에 더욱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