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기후위기에 더욱 취약한 강원… 기후재난 경제피해액 20억

식품·주거·이동권·건강…취약계층 기후재난 직격탄

◇기후 위기 심화 인해 토양이 황폐화된 모습. 사진=강원일보 DB

한파가 이어지는 가운데 기후위기의 영향이 강원 지역 취약계층에 집중되고 있다. 저소득층은 난방비 부담으로 충분한 난방을 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동이 어려운 노인과 장애인은 병원 진료조차 쉽지 않은 상황이다.

춘천 근화동에 홀로 거주 중인 80대 김모씨는 지난해 복지관을 통해 등유 지원을 받았다. 김씨는 “날이 추워 걱정이 많았는데 복지관에서 지원해 준 등유 덕분에 따뜻하진 않아도 춥지 않게 겨울을 버틸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김씨는 야외 화장실을 이용해야 하는 등 주거 환경의 불편함 속에서 난방 지원이 없었다면 더욱 힘들었을 것이라며 한파 속 어려움을 전했다.

기후위기는 개인을 넘어 지역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 더불어민주당 모경종 국회의원과 기후솔루션이 발표한 ‘기후의 역습: 10년간 연도·지역별 기후재난 피해 양상 분석’보고서에 따르면 강원도는 2013년부터 11년간 기후재난으로 인한 경제 피해액만 20억원에 달하며, 인구수 대비 경제 피해액 규모가 전국 1위를 기록했다.

고동영 가톨릭관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기후변화는 취약계층에게 가장 먼저 식품 등 먹거리 영양 문제를 초래하며 주거,이동권,건강 등 여러 측면에서 위험이 가중된다”며 “강원도는 폭설 등 기후 문제가 잦아 축사, 농가, 어촌 등 생활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치명적”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는 기후위기로 인한 질병과 재난에 대비해 국가의 취약계층 보호 의무를 법제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지난해 12월 상임위원회에서 '기후 위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제도개선의 건'을 의결해 환경부 장관과 대통령, 광역자치단체장에게 권고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