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도시'가 지역소멸을 극복하는 새로운 성장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광재 전 국회 사무총장은 18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한병도·맹성규·김영호 의원이 주최한 '대학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토론회' 기조강연자로 참석해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 '기업형 대학도시', '외국인 전문인력을 제공하는 대학도시', '은퇴자 대학도시' 등 3가지 유형의 대학도시가 활성화돼야 한다"며 "대학은 인재육성은 물론 지역 경제 및 주거, 일자리, 문화 등 대부분의 영역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대학도시와 기업도시, 혁신도시가 조화롭게 합쳐진다면 교육용지를 활용할 수 있어 땅 값이 적게 들고, 상·하수도 및 전기 비용이 덜 드는 등 통상적인 도시 건설의 50~60% 수준에서 가능해진다"고 했다.
김헌영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위원회 위원장은 '대학혁신 시스템 정착을 위한 대학도시의 과제'라는 제목의 발제에서 "대학과 지역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 지속가능한 발전과 지역 소멸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며 캠퍼스 혁신파크를 활용한 대학도시 모델을 제시하고, 현 제도의 한계점을 짚었다.
김세용 경기주택도시공사 사장도 '대학, 균형 발전의 엔진'이라는 주제발표에서 "대학 유휴 부지를 활용한 캠퍼스혁신파크, 청년특화주택 사업추진과 더불어 제3판교 테크노밸리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로 실질적 성과를 창출했다"며 "대학, 지역사회, 기업이 함께 성장하는 상생모델을 구현해 새로운 지평을 열어갈 것"이라고 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서는 혁신도시와 기업도시를 잇는 대학도시의 개념 제시, 지방 대학 위기 및 청년 실업, 주거 불안의 해결책으로서의 역할을 논의했다. 대학 내 기업 유치와 고품질 주거시설 확충에 대한 방안도 다뤘다.
한병도 의원은 "혁신·기업도시의 명맥을 잇는 새로운 도시 모델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대학부지의 복합 활용, 기업유치를 위한 인센티브, 주거와 일자리의 통합된 생태계 조성 등을 입법으로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과 맹성규 국토교통위원장, 송기헌(원주 을)·허영(춘천갑) 의원 등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