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후 2개월 미만의 영아가 호흡기 감염질환인 백일해로 숨졌다. 2011년 통계 작성 이후 국내 첫 사례다.
12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들어 백일해 환자 수가 폭증한 가운데 백일해로 입원 치료를 받던 생후 2개월 미만의 영아가 4일 증상 악화로 사망했다.
이 영아는 백일해 1차 예방접종 이전에 기침, 가래 등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았다가 지난달 31일 백일해 확진을 받았다.
국내 백일해 환자는 영유아와 소아, 청소년을 중심으로 꾸준히 나오고 있으나 사망자가 발생한 것은 2011년 백일해 사망자 수 집계 이후 처음이라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는 최근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지난해 백일해 환자는 292명이었는데 올해 들어 11월 첫째 주까지는 3만 명 넘는 환자가 나왔다.
백일해는 보르데텔라균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기 감염병으로, 100일 동안 기침(해·咳)을 할 정도로 증상이 오래 간다는 데서 백일해라는 이름이 왔다.
잠복기는 4~21일(평균 7~10일)이며 '웁'하는 숨소리, 발작, 구토 등의 증상이 동반된 기침을 14일 이상 하는 것이 주요 증상이다.
질병청은 최근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백일해가 유행하는 상황에서 고위험군 보호가 필요하다며, 특히 생후 첫 접종 이전 영아가 백일해에 면역을 갖고 태어날 수 있도록 임신부의 예방접종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윤경 고려대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영아는 백일해 감염으로 상태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어 감염병 발생 감시와 적기 접종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최원석 고려대 안산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방학 기간 감소한 백일해 환자가 새 학기에 다시 증가할 수 있는 만큼 백신 접종과 방역 현장의 대응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