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는 청년과 신혼부부 10명 중 6∼7명은 '임대주택이 결혼과 출산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주택연구원이 발표한 '청년·신혼부부의 저출생 대응 주거 수요'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공공임대주택 거주 청년과 신혼부부 400명을 대상으로 현재 거주하는 주택이 결혼에 도움이 되는지를 조사한 결과, 16.3%가 '매우 그렇다', 56.3%가 '그렇다'고 답해 10명 중 7명꼴로 결혼 지원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임대주택이 출산에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물음에는 12.5%가 '매우 그렇다', 45.0%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에 반해 민간임대주택 거주 청년의 52.5%는 현재 살고 있는 주택이 결혼에 적절하지 않고, 민간임대주택 거주 신혼부부의 37.3%만 현재 거주하는 주택이 출산에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공공임대주택이 결혼과 출산에 도움이 되는 이유로는 '저렴한 주거비용'(26.8%)을 가장 많이 거론됐다.
아울러 공공·민간 임대주택 거주 청년·신혼부부의 76.5%는 '결혼을 지원하는 주거지원 정책이 마련되면 결혼 의향이 높아질 것'이라고, 80.9%는 '출산 지원책이 마련되면 출산율 제고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각각 답했다.
정소이 연구위원은 "청년과 신혼부부 주거 수요를 반영한 공공주택 공급을 지속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