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유빈(8위·대한항공)이 라이벌 일본의 히라노 미우(13위)를 꺾고 한국 선수로는 20년 만에 올림픽 탁구 단식 4강에 진출했다.
신유빈은 1일 프랑스의 사우스 파리 아레나에서 열린 2024 파리 올림픽 탁구 여자 단식 8강전에서 히라노와 1시간 20분간 초접전을 펼친 끝에 4-3(11-4 11-7 11-5 7-11 8-11 9-11 13-11) 승리를 거뒀다.
신유빈이 이날 상대한 히라노는 지난해 항저우 아시안게임 여자 단체전 준결승 맞대결에서 신유빈에게 뼈아픈 패배를 안긴 선수다.
혼합복식에서 생애 첫 메달을 따내며 기세를 올린 신유빈은 11개월 전 항저우 때보다 파워와 스피드, 경기 운영능력 등 여러 면에서 진일보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3게임까지 우세한 경기를 펼쳤다.
세 게임을 잇달아 진 히라노는 옷을 갈아입고서 반격에 나서 4, 5, 6게임을 가져가며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한 점 차 승부에서 신유빈의 범실이 몇 차례 나왔다.
마지막 7게임에서 신유빈은 강력한 공격을 잇달아 성공시키며 5-1까지 앞서나갔다.
하지만 히라노가 끈질기게 따라붙었고, 결국 10-10까지 균형이 맞춰졌다.
코치석에 앉은 '일본통' 오광헌 여자 대표팀 감독은 히라노가 신유빈의 샷 타이밍을 파악했다고 판단, 7게임 중반 타임을 부르고 '상대를 흔들라'며 변주를 줄 것을 주문했는데 이게 통했다.

두 차례 듀스를 기록하는 혈투가 펼쳐진 끝에 히라노의 마지막 두 샷이 연속으로 네트에 걸리면서 신유빈이 4강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16강전까지 3경기를 모두 38분 안에 매조졌던 신유빈은 이날 1시간 20분간의 혈투를 끝내자 안도의 눈물을 수건으로 훔쳤다.
역전 드라마에 마침표를 찍지 못한 히라노는 펑펑 울었다.
이번 대회 혼합복식에서 임종훈(한국거래소)과 동메달을 합작한 신유빈은 여자 단식에서 1승만 더 올리면 생애 두 번째 올림픽 메달을 추가한다.
한국 탁구가 올림픽 단식 메달을 수확한 건 2004년 아테네 대회 유승민(대한탁구협회 회장)의 남자 단식 금메달과 김경아의 여자 단식 동메달이 마지막이다. 한국 선수가 올림픽 남녀 단식에서 4강까지 오른 경우도 신유빈이 아테네 대회 이래 20년 만에 처음이다.

신유빈은 앞서 소피아 폴카노바(23위·오스트리아)를 4-0(11-5 11-3 11-0 11-8)으로 완파하고 올라온 중국의 세계 4위 천멍과 한국 시간으로 2일 오후 8시 30분 결승 진출을 다툰다.
천멍은 지금은 세계 1위 쑨잉사에게 중국 에이스 타이틀을 넘겨줬지만, 2010년대 중후반까지 최강자로 군림했던 선수다.
2021년 도쿄 대회에서는 여자 단식과 여자 단체전 2관왕에 올랐다.
신유빈은 천멍과 지난 3월 월드테이블테니스(WTT) 싱가포르 스매시 8강에서 한 차례 맞붙어 1-4로 진 바 있다.
신유빈에게 매우 어려운 승부가 예상되지만 신유빈이 승리한다면, 쑨잉사를 상대로 결승전을 치르게 될 가능성이 크다.
신유빈은 천멍에게 패한다면 3위 결정전을 치르게 된다. 3위 결정전 상대는 일본의 하야타 히나(5위)가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우리나라는 26일(현지시간) 개막 후 메달 레이스가 시작된 27일부터 매일 메달을 획득해오다가 하루 숨을 골랐지만, '여걸'들의 맹활약 덕분에 더 큰 희망을 봤다.
한국은 대회 7일째인 현재 금메달 6개, 은메달과 동메달 3개씩 따내 메달 순위 7위를 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