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을 이끌 신임 당 대표로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선출됐다.
한 신임 대표와 함께 '친한(친한동훈)계' 최고위원 2명도 지도부에 입성했다. 청년최고위원으로는 러닝메이트 춘천 출신 진종오 후보가 선출됐다
한 대표는 23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린 제4차 전당대회에서 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합산한 결과 과반인 62.84%(32만702표)를 득표, 결선투표 없이 승리를 확정했다.
원희룡 후보는 18.85%(9만6천177표), 나경원 후보는 14.58%(7만4천419표), 윤상현 후보는 3.73%(1만9천51표)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했다.
대표 선거와 별도로 1인 2표 방식으로 치러진 최고위원 선거에서는 장동혁·김재원·인요한·김민전 후보가 당선됐다. 45세 미만 청년최고위원에는 진종오 후보가 선출됐다.
장동혁 수석최고위원과 진종오 청년최고위원은 한 후보의 러닝메이트다. 인요한 최고위원은 원희룡 후보의 러닝메이트로서 '친윤(친윤석열)계'로 분류된다.
한 대표는 수락 연설에서 "민심을 어기는 정치는 없다. 국민의 마음과 국민 눈높이에 더 반응하자"면서 "건강하고 생산적인 당정관계와 합리적인 토론을 통해서 민심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때그때 때를 놓치지 말자"고 강조했다.
아울러 "저를 지지하지 않았던 분들의 마음도 챙기겠다"며 "당내 이견이 있을 때 항상 당원과 동료들에게 설명하고 경청하고 설득하겠다"고 했다.
한 대표는 '자폭 전대'라는 비판까지 나왔던 전대 과열 양상에 대해 "송구스럽고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한 대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이 2007년 이명박 전 대통령과의 대선 경선에서 패한 뒤 '경선 과정에서 모든 일을 잊자. 하루아침에 잊을 수 없다면 며칠 몇 날이 걸려서라도 잊자'고 말한 것을 거론하며 "함께 경쟁했던 모든 분과 함께 가겠다. 각별한 정성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번 전당대회의 당원 투표율은 48.51%로, 지난해 3·8 전당대회 투표율(55.10%)보다 6.59%포인트 낮았다. 지도부 선출은 당원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각각 80%, 20%의 비중으로 반영해 이뤄졌다.

한편, 한 신임 대표의 당직 인선을 앞두고 당의 '신흥 주류'로 자리매김할 친한계에 관심이 모인다.
한 대표와 합을 맞출 주요 당직에 친한계가 전면 포진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당대회 과정에서 드러난 계파 갈등을 봉합하는 차원에서 '탕평 인사'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원내에서는 전당대회 캠프에 보좌진을 파견하거나 러닝메이트 최고위원 후보로 뛰며 한 대표를 도운 인사 10여명이 주요 친한계로 꼽힌다.
비대위 시절부터 호흡을 맞춰 온 장동혁·김형동·박정하 의원을 비롯해 송석준·배현진·김소희·김위상·박정훈·우재준·유용원·진종오·한지아 의원 등 초·재선 중심이다.
특히 '한동훈 비대위'에서 총선 공천 실무를 총괄한 장 의원은 이번 전당대회 과정에서 한 대표에게 정무·인사를 조언하고, 최고위원까지 당선되며 한 대표의 최측근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친윤계로 분류됐던 배 의원은 이번 전대에서 한 대표를 측면 지원하며 친한계 색채를 굳혔다.
원외에서는 신지호 전 의원(캠프 총괄상황실장)과 정광재 전 당 대변인(캠프 대변인)이 한 대표를 도왔다.
이명박 정부 출신 제승완 전 청와대 총무2비서관도 공식 직함 없이 캠프 운영 전반을 담당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당직을 맡고 있는 현역 당협위원장인 김종혁 조직부총장, 윤희석 선임대변인, 호준석 대변인, 박상수 인천 서구갑 당협위원장 등도 한 대표를 물밑 지원한 그룹이다.
전당대회 과정을 거쳐 꾸려진 '한동훈 사단'은 향후 한 대표의 정치적 우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 한 인사는 "한 대표가 사실상 처음으로 제대로 된 자신의 세력을 정치권에 구축했다고 봐야 한다"며 "초선 의원 위주인 자신의 세력을 어떻게 확장할지가 과제"라고 말했다.

한 대표가 전권을 쥐고 꾸릴 당직 인선도 주목된다.
당에서는 이번 인선이 한 대표의 당 운영 기조를 가늠할 잣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친한계를 전면 배치해 당 장악력을 높일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일부 핵심 당직에 친윤 인사들을 기용함으로써 '원팀' 메시지를 발신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로 한 대표는 지난 16일 방송토론회에서 "당 대표가 되면 그동안 있었던 일들을 잊고 모두가 하나의 목표로 정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당직도 탕평할 것이고, 모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심은 정책 전반을 총괄하는 정책위의장, 당 살림살이를 책임지는 사무총장, 대표 몫 지명직 최고위원에 쏠려있다.
당헌·당규상 정책위의장은 당연직 최고위원으로, 대표가 임명 권한을 갖지만 원내대표와 협의를 거쳐야 한다.
친한계 원내 인사 대부분이 초·재선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통상 3선 이상이 맡는 정책위의장은 친한계 테두리 밖에 있는 인물이 검토될 가능성이 있다.
일각에서는 전임 정책위의장인 정점식 의원의 '유임 카드'가 거론된다.
경남 통영·고성 3선인 정 의원은 검사 출신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가까운 대표적 친윤 인사로 꼽힌다. 한 대표가 정 의원을 유임할 경우 친윤계와 접점이 생기는 것은 물론 대통령실에 관계 회복 신호를 줄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또는 한 대표가 친윤계를 최고위 의결권이 없는 당직에 배치해 '탕평 인사' 구색을 갖추면서도 지도부의 안정성을 꾀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사무총장에는 친한계 배현진 의원을 비롯한 재선 이상 의원들이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한 대표와 가까운 인사는 "당 조직을 관리하는 사무총장 인선에 특히 공을 들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지명직 최고위원은 지도부 '의결권'을 방어하는 차원에서 친한계 인사가 등용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