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대선에 밀리고 홍보도 비대면 지선 출마자들 역대급 속앓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사진=연합뉴스

선거구획정 또 지연 삼중고

주목받기 어려워 발만 동동

지방선거가 불과 5개월도 채 남지 않았음에도 3개월 앞서 치러지는 대선 등의 영향으로 좀처럼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 선거구 획정도 늦어지고 있는데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선거운동 자체도 과거와는 달라져 지선 출마 입지자들이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는 분위기다.

■‘지선보단 대선'=여야 강원도당 모두 ‘대통령선거를 이겨야 지방선거도 승리할 수 있다'는 기조를 내세우고 있다. 그래서 후보자들은 어쩔 수 없이 자신의 선거 활동을 뒤로 미루고 대선에 집중할 수밖에 없어 속만 태우고 있는 실정이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선 기여도를 평가해 지방선거 공천룰에 반영하겠다는 계획을 공언한 상태이고, 국민의힘 강원도당은 각 당협별로 ‘대선 활동내용'을 추가로 받겠다는 공문을 내려보냈다. 특히 민주당은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예비후보등록을 일괄적으로 대선 이후로 늦추는 것으로 정했다. 이에 따라 선거법에 명시돼 있는 예비후보로서의 권한을 누릴수 없게 됐다는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번 선거부터는 지자체장뿐만 아니라 지방의원 출마자들도 선거비용 마련을 위해 후원금을 모금할 수 있게 됐지만 ‘그림의 떡'이 됐다.

■선거구획정 지연 되풀이=광역·기초의원 등 지방의원에 출마하는 입지자들에겐 선거구 획정 지연이 가장 큰 고통이다. 이번 선거에서도 뛰어야 하는 운동장도 모른 채 출발선에 서야 하는 상황이 되풀이되고 있다. 선거구 획정 법정기한은 공직선거법상 선거 6개월 전이지만 국회 정개특위는 이미 기한(지난해 12월1일)을 넘겼다. 국회에서 광역의원 정수와 선거구 획정을 해야 강원도시·군의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도 기초의원 선거구 획정 작업에 들어갈 수 있다. 당장 다음 달 18일부터 광역의원·시의원 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실시되지만 현재 국회 정개특위 상황을 살펴볼 때 선거법 개정은 대선(3월9일) 이후에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도내에서도 광역의원 선거구 41곳 중 11곳에서 재조정 요건이 생긴 만큼 변화가 예상되지만 지금 입지자들이 할 수 있는 건 국회만 바라보는 것뿐이다.

■비대면 선거운동=코로나19 영향으로 출마자들이 유권자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기회가 확연히 줄어들었다. 연말연초에 각 기관·단체를 비롯해 소규모 단체에서 진행하던 각종 모임은 사라진지 오래다.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와 비교해 지방선거는 지역주민과의 밀착스킨십이 가장 중요한 요건이지만 유권자들과의 소통의 자리가 없다는 게 문제다. 출퇴근시간에 거리 인사를 하는 게 전부가 됐다. 게다가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동영상, SNS 등 선거운동도 디지털화되며 이전보다 해야 할 일들이 많아졌지만 비용과 시간, 일손에 대한 부담이 더 커진 게 현실이다.

정가 관계자는 “정당정치 현실 속에서 입지자들이 당의 지침을 무시하기는 어려운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하늘기자 2sky@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