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러시아 항로 개설 … 항만교류거점 성장 발판 마련
현 교통망으로 물류 소화 어려워 … 주민 피해 최소화 필요
속보=동해·묵호항을 모항으로 하는 동해항 컨테이너 항로개설 업무협약이 체결(본보 지난 13일자 14면 보도)되며 동해시는 동해안 대표 복합물류항만 도시로 거듭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1단계는 동해항과 베트남 호찌민항을, 2단계는 호찌민항~동해항~러시아 보스토치니를 잇는 항로가 개설된다. 이에 동해항은 국제 무역항으로 도약하는 첫걸음을 뗐지만 주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선결과제 해결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환동해 거점항만 육성 발판 마련=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지역 발전의 큰 방향성을 제시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시는 이번 베트남 항로 개설 협약으로 유통과 서비스업 등이 지역에 집적, 영동지역에 항만 배후 물류단지를 조성할 수 있는 밑거름을 다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철도, 도로, 항만을 갖춘 도시 환경을 고려할 때 수도권과의 거리적 이점을 최적화한 물류 거점을 위한 교통시설 활성화 기반이 갖춰졌다는 생각이다. 이에 시는 기업의 집적화가 이뤄져 일자리 창출과 도시 팽창에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장점을 설명했다. 최재석 시의원은 “국내와 러시아, 일본 등 인접 국가에서 바라보는 지리적 이점, 향후 남북 경제 교류 지점에서 동해·묵호항의 지리적 환경과 잠재력을 이번 협약을 통해 확인한 셈”이라며 “동해시가 환동해안 시대 중심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항만교류거점 도시로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동해시 교통망과 배후지역 선결과제=반면 국제 무역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향성에는 동의하지만 동해지역의 교통망으로는 소화가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동해지역 내 컨테이너 이동에는 생활도로로 사용되는 7번 국도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주민 불편 등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특히 현재도 동해항 배후지역인 송정동 주민들의 환경 피해 민원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산업용 차량의 이동이 잦아지면 피해는 심화될 뿐만 아니라 도로 파손, 교통 혼잡 등의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에게 돌아온다는 설명이다. 일부 전문가는 “민원 발생 문제 해결을 위한 SOC 투자까지 상당 시간이 소요될 텐데 그 시간까지 주민 피해에 대한 설득이나 합의는 부족하다”며 “모든 인프라를 갖추고 사업을 시작하는 경우가 없는 만큼 이에 대한 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이정학 시의원은 “장점만이 부각된 항로개설 협약은 결국 주민들의 희생에 눈을 감는 상황”이라며 “항로개설에 대한 반대가 아닌 동해 발전을 위한 시민들의 합의를 통한 발전 시너지가 필요한 시기”라고 강조했다.
동해=김천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