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국회 코로나 셧다운 반복…국비 전략·민원수렴 어려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사진=연합뉴스

예산 논의 공식 대면창구 막혀

정책협의회 결국 21일로 연기

도정치권 주민소통 거의 단절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국회가 '셧 다운'(일시 업무 정지)을 반복하자 강원도내 정치권이 술렁이고 있다. 국회로 넘어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지역 현안을 담아야 하는 시급한 상황에서 공식 대면 창구가 사실상 막혀 버렸기 때문이다.

강원도국회의원협의회와 강원도는 당초 11일 오전 7시30분 서울 여의도 켄싱턴 호텔에서 개최할 예정이었던 예산정책협의회를 오는 21일 오전 11시로 연기했다. 21대 국회 들어 처음 열리는 협의회인만큼 도내 지역구 국회의원 및 강원도는 국비 확보 방안과 입법 현안을 위해 사전 준비를 마쳤지만 지난 3일 국회에 근무하는 당직자가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는 등 확산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자 결국 연기를 결정했다. 앞서 국회는 올 2월과 8월27일, 지난 3일 등 세 차례 국회 일부 청사에 대해 일시적인 폐쇄 조치를 내렸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정부 예산안 심사가 이뤄지는 9월 정기 국회 때마다 국회 곳곳에서 목격됐던 강원도나 각 시·군 공무원들의 모습은 찾아보기 어려워졌다. 출입 절차가 완전히 막혀버린 데다 가급적 대면 면담 대신 온라인 화상회의나 서면으로 업무협조를 대체하는 경우가 많아져서다. 어렵게 면담이 성사된다 해도 소수 인원만이 참여하는 짧은 회의가 대부분이다. 수도권 거리두기 2.5단계 실행으로 국회 밖 외부 모임 여건도 좋지 않다.

강원도 내 지자체 한 협력관은 “과거에는 강원도 지역구 의원들뿐 아니라 각 현안을 다루는 상임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자주 만나 자세히 설명하고 협조를 구했는데 올해는 지역구 국회의원들을 만나는 것조차 조심스럽다”고 토로했다. 정치권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지역 주민과 자주 만나 스킨십을 하고, 각종 민원을 들어야 하는 상황임에도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예전만큼 적극적으로 나서기가 힘들어졌다. 행사도 줄줄이 취소돼 사실상 주민들과 직접 소통할 기회가 거의 사라졌다.

도내 정가 관계자는 “내년도 국비 확보나 입법 현안 등 굵직한 현안에 대한 공감대가 이미 형성돼 있기 때문에 당분간은 대면 논의가 없더라도 큰 차질이 빚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다만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분명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서울=원선영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