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과 남동발전 건설사업 추진 협의 지연
동해해수청 내달 2차 사업자 모집 재공고 계획
이철규 국회의원 국감서 보고서 조작 의혹 제기
남동발전 “모르는 사안” 해명 … 공식 입장은 아직
속보=동해신항에 민간투자로 추진될 잡화부두 건설사업이 좌초될 위기(본보 10월29일자 14면 보도)에 내몰리자 지역사회의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지난해 9월 잡화부두 건설사업자로 사업의향서를 제출했던 대우컨소시엄이 서류 제출 마감시한인 올 10월25일까지 사업계획서를 제출하지 않은 상태다. 컨소시엄에 참여할 예정인 남동발전과 협의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에서는 “공기업인 남동발전을 믿고 항만기본계획에 잡화부두를 반영시킨 해양수산부는 물론 행정지원 약속을 지킨 동해시와 시민들을 기만한 것”이라며 약속이행 및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내달 사업 추진 여부 '분수령'=동해지방해양수산청은 12월 중 2차 사업자 모집 재공고를 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대우건설 측이 남동발전과 협의를 진행 중인 데다, 남동발전이 올 8월까지만 해도 컨소시엄에 참여하고 동해신항을 이용하겠다는 의지를 보여 왔기 때문이다.
해수청 관계자는 “컨소시엄 구성원들 간 협의가 지연되고 사업계획서가 제출되지 않는 등 갑자기 사업 추진이 유보되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2차 재공고를 통해 사업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동해상공회의소와 동해경제인연합회는 “잡화부두 사업이 좌초된다면 동해신항 진입도로 및 인입철도 초입부에 건설될 3부두의 특성을 고려할 때 방파제와 방파호안 조성에 7,000억원의 재정이 투입된 동해신항 전체 사업의 지연이 예상된다”며 “이미 사업시행자가 선정된 동해신항 석탄부두까지 영향을 미쳐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되지 않은 반쪽짜리 부두개발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국정감사 의혹 진위 밝혀야=이철규 국회의원은 최근 국정감사를 통해 “남동발전이 경북 포항 영일항에 비해 동해항의 해상운임을 높이고 허위자료를 담아 물류 경제성 순위를 뒤집는 등 연구보고서를 조작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원은 남동발전이 영동에코발전소의 수입연료인 우드펠릿 이용항만 비용분석을 하면서 톤당 해상운임을 2배나 높게 설정하고 용역기관을 물류사의 이익단체로 바꿨다고 주장했다. 이어 우드펠릿 선적항을 기존 이용항인 '호찌민항'에서 '하이퐁항'으로 변경했고, 육상운송에 대한 한국철도공사의 입장마저 허위로 보고서에 첨가했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조작된 경제성 평가로 비용이 가중되면 그만큼 전기요금 부담이 높아질 수밖에 없고, 내년부터 매년 100만톤 이상 되는 우드펠릿 수입항을 동해항으로 이용하지 않으려는 의도”라고 지적했다. 결국 남동발전이 동해신항을 수입항으로 이용하지 않기 위해 잡화부두 건설 컨소시엄에 참여하지 않을 의도가 있는 것으로 의혹이 증폭되고 있다.
이에 대해 남동발전 측은 국감 답변에서 “여러 가지 의혹 제기 중 물류 경제성 용역 조작에 대해서는 모르는 사안”이라고 해명했으나 아직 공식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동해=황만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