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로 방문·공동입장 주요의제
응원단 파견 여부 등 관심집중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평화올림픽'으로 치르기 위한 남북 간 회담이 9일 개최된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9일 회담은 오전 10시 남측 평화의집에서 남북 고위급 당국 회담 전체회의가 열리는 것으로 시작된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 들어 처음이자 2년여 만에 열리는 이번 남북 당국 회담에서 정부는 우선 평창올림픽 관련 사안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북한의 평창올림픽 참가와 관련해선 선수단 방남(訪南) 경로와 개회식 공동입장 등이 주요 의제로, 남북이 크게 부딪힐 일이 없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다만 우리 정부는 북한 선수단의 육로 방남을 원하는 것으로 전해졌으며, 이를 위해선 군부의 협조가 필요하다는 점이 변수가 될 수 있다.
선수단 외에 북한이 응원단이나 예술단 등을 대표단으로 파견하겠다는 계획을 밝힐 수도 있다. 이 경우 대표단장으로 누가 내려올지도 관심이다.
평창올림픽 관련 협의가 마무리되면 남북관계 복원을 위한 논의도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남북관계 개선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이산가족 문제라든가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는 문제 등을 함께 논의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오늘 고위급 회담에서 평창올림픽 참가 및 남북관계 개선과 관련한 큰 틀의 합의만 이룬 뒤 분야별 후속회담을 이어간다는 계획으로 알려졌다.
서울=유병욱기자 newybu@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