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가 여름철 집중호우를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이 콕 짚어 문제를 지적한 '빗물받이' 등 도내 하수도 시설 전반에 대한 전수 점검에 나섰다.
도 산림환경국은 7월 한 달간 도내 18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수도 주요 시설물 약 36만 개에 대한 집중 점검을 실시한다. 점검 대상은 도심 내 맨홀 18만 개, 빗물받이 18만 개 등으로, 하수 역류·토사 유입·시설물 파손 등 침수 원인을 사전에 제거해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다.
특히 강우량이 급증할 경우 사고 위험이 높은 도심 저지대, 노후 주택가, 학교·시장·병원 등 다중이용시설 인근을 중심으로 정밀 점검이 이뤄진다. 뚜껑이 파손된 맨홀, 토사로 막힌 빗물받이, 역류 흔적이 있는 배수관로 등은 현장에서 즉각 보수한다.
도는 이번 조치를 통해 ‘도-시군-환경부서’ 간 협업 기반의 통합 점검체계를 가동하고, 이상기후에 따른 집중호우 패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윤승기 산림환경국장은 “하수도는 도민 생활 안전과 직결된 기반시설임에도 관리 사각지대가 많다”며 “올해 장마는 예년보다 강하고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보된 만큼, 사전 점검과 신속한 정비로 피해를 획기적으로 줄이겠다”고 강조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서울 동작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수해 대비 상황을 점검하면서 "다니다 보면 (빗물받이가) 있는지 없는지 모를 정도로 막힌 것이 태반"이라면서 "(요즘에는) 돈이 없어서 (관리를) 못하는 것도 아니지 않느냐. 관리를 잘 안 하는 것이 눈에 띄면 징계하자"고 콕 짚어 지적했다.
또 관계부처 회의에서도 "돈(예산)이 없어 관리 못한다고 하는 자치단체는 빨리 신고하라고 하여 지원한 이후에도 수재가 발생하면 문책을 세게 하도록 하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