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서민 울리는 보이스피싱…연간 수백억원 피해

저금리·대환대출 미끼 보이스피싱 범죄 속출
강원도 피해 금액 최근 5년간 1,000억 ‘훌쩍’
“인력 확대·대규모 특별단속 벌여 근절 총력”

◇사진=연합뉴스

강원도에서 임대업을 하던 60대 A씨는 최근 ‘소상공인 저금리 대출을 도와주겠다’는 전화를 받았다. A씨는 낮은 금리에 돈을 빌릴 수 있다는 사실에 귀를 기울였다.

상담원은 “대출을 받으려면 주거래은행 B사에 있던 9,000여만원의 빚을 먼저 갚아야 한다”며 “계좌로 돈을 보내면 1억8,000만원 상당의 돈을 이체해주겠다”고 말했다.

A씨는 지인과 가족 등에게 돈을 빌려 9,000만원을 마련해 송금했다. 그러나 상담원이 추가 금액을 요구하자 이상함을 느껴 경찰서를 찾았고, 그제서야 보이스피싱 범죄에 휘말렸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A씨는 “경기 불황으로 이자 낼 돈 조차 없어 추가 대출을 받으려 했는데 보이스피싱에 당했다”면서 “기존 9,000만원 빚도 갚기가 힘든데 9,000만원이나 더 생긴 셈이어서 앞이 캄캄하다”고 토로했다.

이처럼 저금리·대환대출을 미끼로 한 보이스피싱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면서 최근 5년간(2020~2024년) 강원지역에서만 4,199건이 발생했고, 피해액은 1,048억원에 달했다. 신고되지 않은 사례까지 감안하면 피해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보인다.

청년층을 노린 ‘기관 사칭형’ 범죄도 기승을 부리고 있다. 범죄 조직은 검찰·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 가짜 웹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게 하거나, 텔레그램·시그널 등 특정 메신저만 사용하도록 강요하고 별도의 휴대전화를 개통하게 만드는 수법을 쓴다.

이에 경찰청을 비롯해 도내 지자체와 금융기관 등은 대응 요령 안내, 현장 교육 등 홍보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경찰은 범정부 종합대책에 맞춰 대응 인력을 확대하고 대규모 특별단속을 벌여 보이스피싱 근절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국민들도 보이스피싱 수법과 대처 방법에 늘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