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백 청정 메탄올 미래자원 클러스터, 삼척 도계 중입자 가속기 기반 암치료 의료 클러스터 등 7,000억대 폐광지 경제진흥사업에 내년 첫 국비 119억원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강원특별자치도가 내년 사상 처음으로 국비 10조 원 시대를 열겠다는 목표를 세운 가운데, 이번 주 정부 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되면서 본격적인 예산 확보전이 시작된다.
정부는 지난달 29일 국무회의를 열고 728조원 규모의 ‘2026년 예산안’을 의결했다. 예산안은 9월 초 국회에 제출된 후 각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위의 감액·증액 심사를 거쳐 오는 12월 최종 확정된다.
폐광지역 경제진흥사업, 강릉 반도체 K-소재부품 생산거점, 디지털 의료데이터 산업적 활용, 중소형 CDMO 육성 항원 항체 소재뱅크, 동물대체시험 실증지원센터, 완전정밀분해 적용 친환경 미래차부품산업 지원기반 구축, 삼척~강릉 고속화철도, 용문~홍천 철도, 포천~철원 고속도로, 춘천∼속초 고속화철도, 강릉∼제진 고속화철도, 여주∼원주 고속화철도 등 현안사업의 국비 확보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이중 총 사업비 7,143억원으로 지난달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폐광지 경제진흥사업은 내년 정부예산안에 119억원이 담긴 것으로 전해진다.
내년 상반기 정부 중앙투자심사 통과 후 하반기 설계, 기반시설 조성이 본격화 돼 2031년 대체산업 클러스터가 본격 가동할 전망이다.
최대 관심사는 강원자치도의 내년 국비 10조원 확보 여부다. 전망은 비교적 밝다. 정부는 내년 예산안에 728조원을 편성하며 확장재정 기조를 확고히 했다.
윤석열 정부가 편성한 올해 본예산(673조3,000억원)과 비교하면 8.1% 늘어났으며 2022년도 예산안(8.9%) 이후 4년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국회 심의 과정의 증액까지 고려하면 10조원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는 1일 오전 10시30분 도청 브리핑룸에서 내년 정부예산안 국비 확보 현황을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