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두 차례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중견기업의 자금 애로는 크게 개선되지 못했다. 지난해보다 자금 사정이 나아진 중견기업은 10곳 중 1곳에 그쳤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중견련)가 28일 발표한 '2025년 중견기업 금융 애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년 대비 자금 사정이 나아진 중견기업은 10.9%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견기업 60.4%는 대동소이하다고 응답했지만 28.7%는 오히려 올해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고 밝혔다.
자금 사정 악화 요인으로는 '매출 부진(53.0%)', '이자 비용 증가(14.0%)', '인건비 증가(10.2%)' 등이 꼽혔다.
특히 자금 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중견기업의 33.0%는 현 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올해 하반기 유동성 절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등 글로벌 환경 변화와 지속되는 내수 침체에 따른 업황 부진에 따라 매출 감소를 자금 사정 악화의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한 기업이 지난해 4월 32.0%에서 올해 4월 53.0%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자금 사정이 악화한 상황에서도 중견기업의 16.7%는 ‘인건비 상승(43.2%)’, ‘원·부자재 가격 상승(34.4%)’, ‘설비투자 확대(29.6%)’ 등 요인으로 자금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조사는 2월 17일부터 28일까지 중견기업 748개 사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중견기업의 자금 조달 경로는 △시중은행(53.6%) △정책금융(11.6%) △직접금융(9.8%) 등 순으로 집계돼 중견기업에 대한 정책금융의 불균형 배분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중견기업들은 △엄격한 지원 요건(28.7%) △정책 자금 정보 부족(21.3%) 등으로 정책금융 접근에 제약이 크다고 응답했다.
시중은행을 활용하는 중견기업들은 △높은 금리(49.9%) △까다롭고 복잡한 심사(8.8%) △과도한 담보·보증 요구(8.0%) 등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수출을 포함한 경제 전반에서 중견기업이 차지하는 중심적 역할을 감안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중견기업의 활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정책금융의 문턱을 낮추고 시중은행의 경직적인 운영 기준을 완화하는 등 중견기업이 겪는 고질적인 자금 조달 애로를 시급히 해소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