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와 18개 시·군, 그리고 원주 혁신도시로 이전한 12개 공공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실질적인 협력의 첫발을 내디뎠다. 지난 16일 개최된 ‘제1회 강원혁신도시 상생발전협의회’는 9년 만에 이뤄진 첫 공식적 연대의 장이다. 도의회 경제산업위원회의 권고로 추진된 이번 협의회는 혁신도시 발전의 성과를 강원 전역으로 확산시키겠다는 구체적 의지를 담고 있다. 이제 중요한 것은 선언이 아닌 행동으로 옮기는 일이다.
강원혁신도시는 2013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이전을 시작으로 2017년 국립공원공단까지 총 12개 공공기관이 이전을 완료하며 형성됐다. 그러나 물리적 이전만 있었을 뿐 혁신도시가 가진 역량과 자원을 시·군과 연계한 협력 사업은 사실상 전무했다. 지역의 눈높이에서는 ‘혁신도시가 지역과 단절된 섬’으로 비친 것도 무리는 아니다. 이번 협의회를 계기로 이러한 폐쇄적 구조를 해소하고 지역과 기관이 서로 필요로 하는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한다. 공공기관은 단순한 행정 기능 제공을 넘어 지역 혁신의 거점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각 기관이 보유한 기술, 인력, 인프라를 지역의 수요와 연결할 수 있는 맞춤형 협력 모델이 필요하다. 예컨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과학적 분석기술은 지자체의 재난 대응 시스템과 연계할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역 의료 인프라 개선과 정책 설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런 협업이야말로 진정한 ‘상생’이다. 시·군 역시 수동적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단순히 지원이나 분배를 요청하는 것을 넘어 지역 고유의 과제와 강점을 바탕으로 한 협력안을 능동적으로 제안할 수 있어야 한다. 이제부터라도 도내 각 시·군은 공공기관과의 연계 지점을 찾아 실질적인 협력 사업으로 구체화해야 할 때다. 강원도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과 다양한 지역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군별 여건과 필요 역시 천차만별이다. 산림, 농업, 관광, 의료, 교육 등 분야별 협력 모델을 다양화하고 지역 특성에 맞게 조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대하다. 혁신도시 발전지원센터의 중재자 역할도 막중하다. 단순히 회의체를 운영하는 것을 넘어 실질적인 사업 발굴과 예산 확보, 결과 피드백을 아우르는 플랫폼으로 기능해야 한다. 이번 회의가 유튜브 생중계까지 병행된 것은 협의회의 투명성과 공공성을 높이려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형식보다 본질이 중요하다. 상생발전협의회가 보여주기식 행사에 그치지 않으려면 회의 정례화와 과제 관리 시스템 구축이 뒤따라야 한다. 실질적인 협업 모델을 발굴하고,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함은 물론이다. 지금 강원도가 맞이하고 있는 자치와 분권의 시대에 도와 시·군, 그리고 공공기관의 협력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혁신도시를 단지 원주만의 발전 모델로 머물게 할 것인지, 아니면 강원 전역의 동반 성장 동력으로 만들 것인지는 지금부터의 실천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