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양양서 부화한 연어 사상 최초 울릉도 해역 방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일보 창간 80주년 특별 기획, 연어어족자원 보호 회귀율 제고 기대

【양양】우리나라 토종연어인 첨연어(Chum Salmon) 치어가 사상 최초로 울릉도 해역에 방류된다.

강원일보 창간 80주년을 맞아 한국수자원공단 동해본부 동해생명자원센터는 공동으로 마련한 이번 행사는 8일 경북 울릉군 사동항 및 통구미 일대 바다에서 2~5㎝ 크기의 어린연어 10만마리를 방류하게 된다.

이번 행사를 공동으로 주관한 한국수자원공단(FIRA, 이사장:김종덕) 동해생명자원센터는 최근 울릉도 해역에서 연어가 잡히는 사실을 근거로 울릉도 해역방류를 기획했으며, 앞으로 성어로 성장해 산란기 다시 양양남대천으로 돌아오는 것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학술연구도 진행한다.

울릉도 인근 해역에 방류된 어린연어는 동해와 북태평양 러시아 동부 등 바다에서 먹이활동을 한 뒤 산란기 남대천을 비롯해 우리나라 하천으로 되돌아오게 된다. 연어의 고장 양양에서 태어난 어린연어가 동해에 방류된 뒤 북태평에서 성장, 번식을 위해 수천에서 길게는 수만㎞를 헤엄쳐 태어난 곳으로 되돌아오는 자연의 위대함에 감동과 경외감까지 전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방류되는 어린연어에는 생물학적으로 성장에 지장이 없는 특수칩을 내장, 회귀율 등 과학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울릉도 해역에서 방류를 하면 하천에서 방류했을 때 보다 새들의 먹이로 희생되는 양도 줄고 우리나라 인근 해역을 따라 동해와 북태평양 러시아 동부 등으로 나가면서 포획되는 위험도 감소해 어족자원 보호와 첨연어 개체수 확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에 방류되는 어린연어는 알에서 부화한 뒤 동해생명자원센터에서 치어로 키워 해역방류 직전 바닷물에서 적응이 가능하도록 적응력을 갖게 해 주는 순치과정을 거친다.

김두호 동해생명자원센터장은 “이번 울릉도 앞바다 어린연어 방류는 연어 보호와 어족자원 증식 등 어업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다양한 연구로 연어 회귀율을 높여나가겠다”고 말했다.

◇산란기를 맞아 연어들이 알을 낳기 위해 양양남대천을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산란기를 맞아 연어들이 알을 낳기 위해 양양남대천을 거슬러 올라가고 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