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전문의 칼럼]알레르기성 비염 환자 증가세 침구 자주 빨고 꽃가루 피해야

성지병원 김현식 내과 전문의

요즘 알레르기성 비염을 가진 분들이 늘고 있습니다. 코 내부의 점막이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비염이라고 하는데 비염과 알레르기성 비염은 증상만 비슷할 뿐 실제로는 많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발생합니다. 알레르겐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을 말합니다. 알레르겐은 주로 항체 중 IgE 유형에 의해 발생하는데 사람마다 갖고 있는 IgE의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각 사람에 대한 알레르겐도 다르게 됩니다. 한번 만들어진 IgE는 계속 존재하며 특정 물질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 생기면 시간이 지나도 그 물질에 대해 계속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됩니다.

알레르겐은 매우 다양한데 꽃가루,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실내 곰팡이 등이 흔한 알레르겐입니다. 이런 물질들은 대게 숨을 쉴 때 코로 들어오므로 증상으로 콧물, 재채기, 코 막힘 등과 같은 비염증상이 나타납니다. 경우에 따라 호흡곤란, 쌕쌕거림, 기침과 같은 기관지 천식 증상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주요 증상은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재채기가 흔한 증상입니다. 코에서 맑은 분비물이 나오는 콧물, 코가 막히고 숨쉬기 불편한 코 막힘, 코 주변이 가려운 코 가려움증, 눈이 가렵거나 눈물이 나오는 눈 가려움증 등이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원인별로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꽃가루 등이 주요 원인인 되는 흡입성 알레르겐과 봄과 가을에 특히 심한 증상을 유발하는 꽃가루 등에 의한 계절성 알레르겐이 있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회피요법, 약물요법, 면역요법 등이 있습니다.

회피 요법은 말 그대로 원인이 되는 알레르겐을 피하는 것입니다. 집먼지 진드기, 동물의 털 등과의 접촉을 최소화 합니다. 특히 침대 위에 털 인형 등을 올려놓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침구류를 자주 빨거나 갈아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약물 요법으로는 증상을 완화시키는 항히스타민제, 염증과 가려움증을 완화하는 비강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스프레이 등이 사용됩니다. 마지막으로 알레르겐에 면역되도록 주사를 맞는 면역 요법이 있는 데 이는 증상이 아주 심한 경우에 해당됩니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자신이 반응하는 알레르겐을 인지하고 이와 같은 환경을 피하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법이 될 수 있습니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