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선 철도의 미싱 링크(Missing link) 구간 해소를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강원특별자치도, 강릉·동해·삼척시, 국가철도공단이 원팀으로 나서 강릉~동해~삼척 구간의 고속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철도 개량 사업이 아니다. 동해선 전체의 운행 효율을 높이고 강원특별자치도의 교통 인프라를 혁신적으로 개선하는 중대한 사업이다. 무엇보다 동해안 철도망의 완성을 통해 지역 발전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 산업 발전이라는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현재 동해선 480㎞ 구간 중 강릉~동해~삼척 구간은 유일하게 시속 60~70㎞의 저속 구간으로 남아 있다. KTX가 투입될 경우 부산에서 삼척까지 2시간대 도달이 가능하지만 이 구간이 병목 현상을 일으키며 전체 운행 시간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철도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고 이용객들의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동해안 지역의 균형발전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2028년 개통 예정인 동해북부선(강릉~속초~양양~고성)과 연결될 경우 동해선은 동해안 전 구간을 잇는 완전한 철도망으로 거듭나게 된다. 그러나 강릉~삼척 구간이 현재 상태로 유지된다면 고속철도의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구간의 고속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적 과제다. 이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통과가 관건이다. 현재 기획재정부가 예타를 진행 중이며 올해 상반기 결과 발표가 예상된다. 그러나 예타 통과가 쉽지 않다는 우려가 있다. 사업비 1조3,000억원이 투입되는 대형 국책 사업인 만큼 경제성을 충분히 입증해야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무협의체가 구성되고 예타 대응 전략을 논의하는 것은 시의적절하다.
이제는 사업 추진의 당위성을 더욱 명확히 하고 정책적 설득력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동해선 고속화는 단순한 교통 편의성 증대가 아니라 국가 기간 교통망의 완성이라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남북 교류가 활발히 이뤄질 경우 동해선은 국제철도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강원도의 관광 및 산업 발전을 촉진하는 핵심 인프라로 작용할 것이라는 점도 부각해야 함은 물론이다. 특히 KTX가 강릉~삼척 구간을 고속으로 운행할 경우 수도권에서 동해안 주요 관광지까지 2시간 이내 도달이 가능해져 관광객 증가로 인한 지역경제 활성화가 예상된다. 정부는 동해선 고속화 사업을 국가 균형발전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