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폐광지역 주민들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투쟁이 지속되고 있다. 폐광을 앞둔 지역 주민들은 대체산업 도입과 정부의 책임 있는 대응을 촉구하며 끈질긴 투쟁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정부는 주민들의 요구를 외면한 채 무책임한 태도를 보이고 있어 사태 해결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공동투쟁위는 주민들이 78일째 투쟁을 이어오고 있지만, 국정과제인 지정면세점과 중입자가속기 도입 등 조기 폐광지역 경제진흥을 위한 대체산업이 타 부처로 이관됐다는 이유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등이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지난 겨울 강추위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 폐광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투쟁을 이어왔지만 정부가 주민들의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도 기울이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오는 6월 폐광을 앞둔 석공 도계광업소는 이미 석탄 채굴을 중단하고 갱내 철거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막대한 환경재앙이 예고된 수몰로 인한 광해 복구 계획은 여전히 철회되지 않고 있으며, 석공과 광해공단, 산업통상자원부조차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주민들은 폐광대책 수립과 산하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이행을 촉구하며, 정부가 관리·감독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주민들과 협의기구를 구성하고, 석탄산업 이후의 대책을 마련하며, 가행광산 특구 지정을 추진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공동투쟁위는 오는 31일 세종시 정부청사 앞에서 2차 원정 집회를 연다. 이날 집회에는 주민 500여 명이 참여할 예정이며,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청사 앞에서 삭발식을 진행한 뒤, 연탄 화형식을 거행하는 등 투쟁 수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김광태 공동투쟁위원장은 “생존권 투쟁에 대한 정부 부처의 대응에 지역 주민들이 분노하고 있다”며 “정부의 무책임한 석탄산업 종료 정책에 맞서 하루빨리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