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발전소 전력망 확충 방안 주목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정부,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특별법 방안 마련
발전사측, “목표인 내년 9월 어려워, 경영난 가중” 진단

정부가 동해안 지역 발전소의 송전 제약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며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현재 동해안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보낼 전력망이 부족해 발전소 가동이 중단되거나 대폭 축소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따라 특단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정부는 최근 발표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동해안 발전소의 송전 제약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포함했다. 또한, 국회를 통과한 국가 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통해 전력망 확충을 위한 입지 선정 특례 등 제도적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발전소가 위치한 지역에서 생산된 전기는 해당 지역에 우선 공급하도록 하고, 전력망이 설치되는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재정 지원을 가능하게 하는 조항을 추가했다. 또한, 송전망 건설과 관련한 사업부지 보상 및 주변 지역 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발전업계는 동해안 발전소의 송전 제약 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발전소 관계자는 “당초 2019년까지 전력망을 구축할 계획이었지만, 주민 반발과 인력·자재 수급 문제로 일정이 지연됐다”며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내년 9월까지도 송전망이 완전히 구축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송전망 부족으로 발전소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경영난이 심화될 우려가 크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삼척블루파워의 경우, 1,050MW급 화력 발전설비 2기를 갖추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가동이 가능해졌지만, 송전망 문제로 인해 이달 들어 가동률이 10%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