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도계광업소 폐광, 대체산업 조성이 먼저”…도의회 농성 현장 찾아 대책 논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도의회 폐광특위 도계광업소 폐광반대 투쟁현장 방문
현장 의견청취 및 폐광에 대비한 지역생존 대책 논의

강원특별자치도의회 ‘폐광지역개발지원 특별위원회(위원장:조성운)’ 의원 일동은 16일 삼척 ‘도계광업소 폐광에 반대하는 대정부 투쟁 의결’ 농성 현장을 방문했다. (사진=강원특별자치도의회)

속보=올해 6월 국내 마지막 국영 탄광인 삼척 도계광업소(본보 지난 13일자 2면 보도)의 폐광을 앞두고 생존대책을 촉구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의회는 폐광반대 투쟁위원회 농성 현장을 찾아 폐광에 대비한 지역 생존 방안 모색에 나섰다.

강원자치도의회 ‘폐광지역개발지원 특별위원회(위원장:조성운)’ 의원들은 16일 삼척 ‘도계광업소 폐광에 반대하는 대정부 투쟁 의결’ 농성 현장을 방문했다. 의원들은 커피, 생수 등 준비한 물품을 전달하며 주민들을 격려하고 현장 의견을 들었다.

폐광반대 투쟁위원회와 간담회를 통해 도계 지역회생을 위한 생존대책을 논의하는 시간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조성운 폐광특위 위원장은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희생해 온 지역주민들이 생존 위기에 직면해 있지만 정부는 아무런 준비와 대책도 없이 폐광을 밀어붙이려 하고 있다”며 “관련 부처는 폐광지 대체산업 조성을 위한 계획을 조속히 확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척시 도계읍 주민들은 석탄공사 도계광업소의 조기 폐광을 앞두고 생존 대책을 촉구하는 대정부 투쟁을 이어오고 있다. 도계읍 사회단체들로 이뤄진 폐광반대 투쟁위원회는 지난 6일 도계역 앞에서 출정식을 가진 데 이어 지난 9일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를 찾아 삭발식을 거행하며 투쟁 의지를 드러냈다.

투쟁위원회는 정부를 대상으로 폐광지 대체 산업 계획의 조기 확정과 광업 재해예방대책, 석탄산업유산 활용, 광산사택 주거 대책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삼척시의회는 지난 14일 성명을 통해 "정부는 주민 의견을 무시한 폐광을 전면 재검토하고, 폐광지역의 생존권 대책을 조속히 제시하라" 밝힌 바 있다.

지난해 초 3만 9,280여명이었던 태백시 인구는 같은 해 7월 장성광업소 폐광 뒤 연말까지 670여명이 감소했다. 이 때문에 도계광업소 폐광을 앞둔 삼척 역시 급격한 인구 감소 후유증을 겪을 수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실제 강원도가 도계광업소 근로자를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서도 응답자의 43.2%가 폐광 이후 타지역 이주 의향을 밝혔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