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윤 대통령·기시다 총리 정상회담 "한미일 삼각협력 강화 공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윤석열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정상회담
"북한 도발과 러시아·북한 밀착 역내 안정 위협 대응"
양국 과거사에 대한 논의도··· 기시다 "가슴아프게 생각"
재외국민보호각서 체결하고 출입국 간소화 위해 협력
정상회담 후에는 기시다 총리와 유코 여사 초청 만찬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일 소인수 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유코 여사가 6일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만찬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6일 청와대 본관에서 방한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부인 유코 여사와 함께 만찬을 하며 환담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지난 6일 북한 도발과 러시아·북한 밀착 등 역내 안정 위협에 대응하고자 한미일 삼각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공감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정상회담을 열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대통령실이 밝혔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브리핑에서 "양국 간 실질 협력 증진 방안, 한반도 정세, 한미일 협력, 인·태 지역을 포함한 역내 및 글로벌 협력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했다"고 전했다.

우선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북한의 도발에 강력한 대응을 재확인했다.

특히 북한이 러시아를 뒷배 삼아 도발하지 못하도록 냉정한 대비 태세를 유지하자는 데 공감했다. 구체적으로 러시아와 군사 협력 가능성을 지목하며 경고한 것이다.

양국 정상은 대응을 위한 실행 방안으로 미국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의 계승·발전을 거론했다.

지난해 8월 윤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총리는 한미일 3국의 안보·경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

양국 과거사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기시다 총리는 과거사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가 1998년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을 포함한 역대 내각의 역사 인식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당시 가혹한 환경 아래 많은 분이 대단히 고통스럽고 슬픈 경험을 한 데 대해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양국 협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성과물도 내놨다. 제3국에서 위기시 양국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재외국민보호각서' 체결한데 이어 출입국 간소화를 위한 '사전입국심사제도' 도 협력하기로 했다. 또일본은 1945년 재일 한국인을 태운 채 침몰한 우키시마호 승선자 명부 전달해오기도 했다.

이날 정상회담은 오후 3시 35분부터 약 100분간 소인수회담과 확대정상회담 순으로 열렸다.

윤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 간 회담은 지난해 양국 셔틀 외교 재개에 합의한 후 이번이 12번째이며, 올해 들어서만 3번째다.

정상회담 후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부인 유코 여사를 초청해 만찬을 진행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